김해 ‘갈비 사자’, 25평 시멘트 우리 벗어났다... 청주동물원 야외 우리로

김준호 기자 2023. 7. 5.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일 경남 김해 부경동물원에서 지내던 늙은 숫사자가 철제 케이지에 실려 충북 청주동물원으로 이송되고 있다. /김해=김준호 기자

수년 간 시멘트 바닥과 좁은 실내 우리에서 홀로 늙어가던 경남 김해 한 동물원의 숫사자가 남은 여생을 사방이 트인 야외 우리에서 친구들과 함께 보내게 됐다.

5일 오전 11시쯤 경남 김해 부경동물원. 사람 나이로 100세에 가까운 할아버지 숫사자의 장거리 이송 작전을 앞두고 긴장감이 흘렀다. 고령인데다 뭇짐승의 왕인 사자라는 점에서 세심한 작업이 필요했다. 사자가 옮겨 갈 청주동물원 측은 마취총을 사용해 고령의 사자를 잠들게 하는 방법 대신 견고하게 제작한 철제 케이지에 사자가 스스로 들어가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우리 안에 먹이를 두고 유인하고, 긴 장대로 툭툭 건드렸지만, 사자는 짐승의 본능인 듯 평소와 다른 분위기를 감지하고서는 좀처럼 철제 케이지로 들어가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이리저리 우리 안을 오갈 뿐이었다. 다행히 2시간여 정도 지날 무렵, 애타는 사람들의 마음을 눈치챘는지, 사자는 그제서야 철제 케이지에 몸을 넣었다.

사자는 에어컨이 달린 무진동 냉장차로 옮겨졌다. 약 270km가 떨어진 충북 청주동물원으로 향했다. 이곳에서 남은 여생을 보내게 된다.

삐쩍 마른 사자. /김해시청 홈페이지 캡처

김해 부경동물원에서 지내던 이 숫사자는 지난 2004년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부경동물원에 온 것은 2016년쯤이다. 최근 이 사자는 ‘갈비 사자’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좁고 낡은 열악한 동물원 실내 우리에서 제대로 된 돌봄을 받지 못한 채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모습이 알려지면서다. 이 사자가 지낸 우리는 가로 14m, 세로 6m의 25평 규모다. 관람객들이 밖에서 우리 쪽으로 바라보는 투명창이 설치된 한면을 제외하고는 3개 면과 천장 등 사방이 막힌 채 지냈다. 사자는 흙이 아닌 시멘트 바닥에서 7년째 몸을 뉘였다.

아프리카 초원 등에서 시속 60km에서 빠를 때는 80km까지 속도를 내며 달리는 사자에게는 너무나 비좁고 열악한 공간이었다.

이 모습을 본 시민과 동물단체에서는 즉각 ‘동물학대’라고 김해시 등에 항의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다. 부경동물원 측은 “시설이 오래되고 코로나로 최근까지 방문객이 급감해 동물을 제대로 관리하진 못했지만 굶긴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여론은 좋지 않았다.

이후 충북 청주시에 있는 청주동물원 측이 사자의 안타까운 사연을 듣고 인수하기로 했다. 사자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의 관리 대상인 만큼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이동 승인까지 받았다. 청주동물원은 청주시가 운영하는 시립동물원으로, 동물을 가둬 구경시키는 것이 아닌 야생에서 구조한 동물을 치료하고, 훈련을 거쳐 자연에 방사하는 쪽을 중시하는 곳이라고 한다. 동물을 동원한 공연도 하지 않는다. 지난해에는 환경부 지원을 받아 생물자원보전시설을 새로 만들기도 했다. 특히 이곳 동물원엔 12살(암컷), 19살(수컷) 사자도 지내고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할 숫사자의 무리생활도 기대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