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부자들의 일탈인가, 모험가의 비극일까…잠수정 사고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심영구 기자 2023. 7. 5. 11: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해상 사고일 겁니다. 1,514명의 사망자를 낸 이 사건은 1997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 주연의 영화로 제작되어 당시 바다를 소재로 한 영화는 성공할 수 없다는 말을 무색하게 만들며 전무후무한 흥행으로 역대 흥행 1위에 올랐습니다. 

사고가 발생한 지 111년이 지난 올해, 타이타닉호는 다시 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됩니다. 바로 지난달 중순 타이타닉 호를 직접 관찰하기 위해 출항한 잠수정 타이탄 호가 잠수 1시간 45분 만에 연락이 두절되었고, 며칠 뒤 잔해가 발견되며 공식적으로 이들이 사망한 것으로 결론 났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의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은 타이탄 호를 제작하고 관광상품을 판매한 오션게이트 익스페디션의 CEO 스탁턴 러시일 겁니다. 이는 그가 기존의 규제, 곧 안전을 위해 만들어진 여러 원칙을 따랐다면 이 비극을 막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지난 6월 28일 하버드의 역사학자인 나오미 오레스케스는 뉴욕타임스를 통해 안전은 혁신의 방해물이라는 러시의 생각이 적어도 심해 탐사에서는 틀렸다는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 ▶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 '타이타닉 관광' 잠수정 타이탄호의 운명을 결정지은 속설
[ https://premium.sbs.co.kr/article/Ga-HObSFU1y ]

나오미는 러시가 인터뷰 중에 말한 “혁신은 정의상 시스템 외부에 있다”에 대해 실제 예를 들어가며 반박합니다. 곧, 미국 심해 탐사의 역사에서 주요한 진전의 예들은 미군과 정부 연구소 등 미국 정부의 노력에 의한 것이었으며, 또 이들이 안전을 중요시한 결과 큰 사고 없이 꾸준히 혁신을 지속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은 잠수정의 설계와 제작에 참여했고 이를 관광상품으로 사업화했을 뿐 아니라 직접 잠수정을 조종한 러시도 승객들과 같이 사망했다는 점에서 명백한 비극이지만, 동시에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오르기 좋은 면들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수심 4,000 미터에서 타이타닉 호를 직접 관찰하는 이 경험이 매우 고가였다는 사실을 이야기합니다. 총 여행 시간은 8시간이며 실제 타이타닉을 관찰하는 시간은 길어야 1시간 남짓이었을 이 모험에 참가자들은 25만 달러, 우리 돈으로 3억 원이 넘는 돈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더 놀라운 것은 대기하고 있는 이들이 많아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야 했다는 말도 있다는 것입니다.

부유한 이들이 일반인이 하지 못하는 경험을 찾아 나서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닙니다. 취향을 통해 계급을 구별하려 한다는 부르디외의 구별 짓기 이론이나, 무용한 일에 매진하는 것이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이라는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은 왜 부유층이 수억 원에서 수백억 원에 이르는 비용을 내며 심해나 우주를 경험하려 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힌트를 줍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심영구 기자 so5wha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