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주요 소재’ 리튬·코발트·망간 등 中의존도 80% 이상

2023. 7. 5. 1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는 탈(脫) 중국화를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 경제협력기구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 공급망 협정을 맺었지만 발효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수출 통제 품목을 확대하거나 조치 강도를 높이면 제2의 희토류나 요소수 사태로 언제든 번질 가능성이 있지만, 당장 IPEF 공급망 협정으로 불을 끌 수 없다는 이야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PEF 회원 14개국 공급망 타결, 발효까지 시간 소요
“단기간 영향 제한…다른 품목 확대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3일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제재에 맞서 반도체용 희귀금속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선다고 밝혔다. [로이터]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 정부는 중국의 첨단 반도체 제조 핵심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규제 제한이 다른 광물로 확대되느냐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차전지 양극재 핵심원료인 탄산망간은 중국에서 100%수입하는 등 핵심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탈(脫) 중국화를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 경제협력기구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 공급망 협정을 맺었지만 발효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수출 통제 품목을 확대하거나 조치 강도를 높이면 제2의 희토류나 요소수 사태로 언제든 번질 가능성이 있지만, 당장 IPEF 공급망 협정으로 불을 끌 수 없다는 이야기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이차전지 양극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 중국 의존도는 84%에 달했다. 다른 양극재 주재료인 황산코발트(97%), 탄산망간(100%), 황산망간(97%)의 중국 의존도도 높다.

이차전지 음극재 원료인 천연흑연(72%)과 인조흑연(87%)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각종 첨단 제품 제조에 쓰이는 희토류 의존도는 54%에 달하고, 이중 전기차 모터 등에 쓰이는 영구자석 의존도는 86%로 더 높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세계적으로 핵심광물의 채굴·정련 분야 상류산업(업스트림)을 중국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포스코그룹 등 국내 기업들이 핵심광물의 자체 확보에 나서는 등 수급 다양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중국 의존도를 유의미하게 낮추는 데까지는 긴 시간이 걸린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업계는 갈륨과 게르마늄에서 시작된 중국의 핵심광물 수출 통제가 향후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첨단산업에 파급력이 큰 민감 제품군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PEF를 통해 공급망 위기에 대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 5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IPEF 장관회의에서 ‘공급망 위기극복을 위한 정부 간 공조’ 등을 담은 공급망 협정이 타결됐기 때문이다. 특정 분야나 품목에서 공급망 위기가 발생했을 때 14개 회원국이 공동 대처하는 게 핵심이다. IPEF 회원국은 자원부국인 호주·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미국,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브루나이,뉴질랜드, 피지 등이다.

그러나 IPEF 발효는 14개 회원국마다 국내 절차를 거쳐야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적 효과와 법제처 검토를 거쳐 국회비준 여부까지 확인해야 국내 절차가 끝난다. 국회비준은 정부의 재정 지원 및 국내법 개정여부에 따라 좌우된다. 국내 절차에 국회비준까지 거쳐야할 경우, 최소 6개월가량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올해안으로 발효가 힘들 수 있다는 계산이다.

무엇보다 중국발 공급망 불확실성이 다시 주목받으면서 핵심광물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리튬, 코발트, 흑연 등 33종의 핵심광물을 선정해 2030년까지 중국 의존도를 50%로 낮추고, 전기차 폐배터리 등 폐기물의 핵심광물 재자원화 비율을 20%로 높이는 내용을 담은 ‘핵심광물 확보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전날 긴급 공급망 점검회의에서 “단기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수출 통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불투명하고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중국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신속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