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agaji must stop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가지요금(Overcharge)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요금보다 비싼 요금을 뜻한다.
'무언가를 퍼내는' 그릇인 바가지에 '요금을 비싸게 내 손해를 본다'는 의미가 담긴 것은 조선 시대 말부터다.
코로나19 규제가 풀린 후 사실상 3년 만에 맞은 휴가철을 앞두고 바가지요금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한국에도 이런 곳이 있었구나' 내뱉었던 탄성이 바가지요금 때문에 탄식으로 바뀌어서야 되겠나.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HOI HYUN-JOOThe author is a stock market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Overcharge generally refers to a charge higher than a set pric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Koreans began to call it “bagaji,” or a large bowl. A gambling game in which one guesses a number hidden in many bowls was popular at the time. When you don’t get the right number, you would lose the money, and that’s how “getting a bagaji” became an idiom for rip-off.
Rip-off charge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n the 1960s, when industrialization began in earnest. Customers from other regions or foreigners were deliberately charged higher fees by taxis.
Some taxis were even called “gangster taxis” after some taxi company employees designated certain areas as their turf just like gangsters, threatening drivers from other companies and trying to force customers to only use their taxis. They manipulated the fare meter to raise the charges or deliberately chose long routes. They were arrested for violence and intimidation one after another.
There was also a controversy over bus fare rip-offs. A bus company that nearly monopolized certain ro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riticized for charging double the usual fare. Industries that require specialist knowledge — such as computers and automobiles — were considered easy targets for rip-offs. The merchants at the Electronics Market in Yongsan were called “yongpari,” a term to describe an extreme type of rip-off accompanied by blackmail and physical violence.
After the lifting of Covid-19 regulations, overcharges became contraversial ahead of the first vacation season in three years. People posted online how they were ripped off when they visited local festivals and tourist attractions.
A small plate of pork barbecue was sold at 40,000 won ($31), and a fishcake was priced at 10,000 won. Three pieces of a10 centimeter-diameter potato pancake was priced at 25,000 won. Golfers tired of rip-off pricing at golf courses are traveling abroad after the restrictions were lifted.
I sympathize with the merchants’ struggles during the pandemic. But while they were sighing in empty stores for three years, 64 trillion won was provided to them to help struggling small businesses. This was taxpayers’ money.
While everyone suffered during the pandemic, assistance was provided thanks to a social consensus on helping merchants who were practically out of business.
Visitors impressed by the beautiful scenery during their summer vacation should not be disappointed and appalled by rip-off prices. I hope the derogatory new term, “K-bagaji” will disappear soon from foreign tourist communities.
K 바가지 최현주 증권부 기자
바가지요금(Overcharge)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요금보다 비싼 요금을 뜻한다. ‘무언가를 퍼내는’ 그릇인 바가지에 ‘요금을 비싸게 내 손해를 본다’는 의미가 담긴 것은 조선 시대 말부터다. 바가지 같은 그릇 여러 개를 엎어놓고 이리저리 섞은 후 속에 넣어둔 숫자를 맞추는 도박이 유행했다. 숫자가 틀리면 걸었던 판돈을 잃었는데 이때부터 ‘바가지 썼다’는 관용구가 생겼다.
바가지요금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시기는 산업화가 본격화한 1960년대부터다. 다른 지역에서 온 고객이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일부러 택시비를 비싸게 받았는데, ‘조폭 택시’까지 등장했다. 택시회사 직원들이 조직폭력배처럼 특정 지역을 거점으로 삼고 자사 택시만 운용하도록 다른 회사 택시 기사나 고객을 위협했다. 이들은 요금이 더 많이 나오도록 미터기를 조작하거나 일부러 먼 길로 돌아갔다. 공항이나 역에 터를 잡고 이런 택시로 영업하던 이들이 폭력‧협박 등으로 줄줄이 구속되는 일까지 빚어졌다.
버스 요금 바가지 논란도 있었다. 수도권 특정 노선을 독점하다시피 했던 한 버스회사가 통상 요금의 두 배나 받아 시민의 불만을 사던 때도 있었다. 자전거‧컴퓨터‧자동차같이 전문지식이 필요한 업종은 바가지 쓰기 좋은 업종으로 꼽힌다. 서울 용산 전자상가에서 장사하는 상인을 일컫는 ‘용팔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였다.
코로나19 규제가 풀린 후 사실상 3년 만에 맞은 휴가철을 앞두고 바가지요금이 도마 위에 올랐다. 지역 축제나 유명 관광지를 찾은 후 ‘바가지를 썼다’는 글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작은 접시에 담긴 4만원짜리 통돼지 바비큐, 1만원짜리 어묵, 지름 10㎝에 2만500원짜리 감자전(3장) 등. 골프장 바가지에 지친 골퍼들은 코로나가 풀리면서 해외로 나가고 있다.
그간 힘들었던 상인들의 초조함도 알겠다. 그런데 그들이 텅 빈 가게에서 한숨 쉬는 3년간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64조원이 투입됐다. 국민이 낸 세금이다. 코로나19로 모두 힘든 시기였지만, 사실상 개점휴업해야 했던 상인들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기에 가능했던 지원이다.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한국에도 이런 곳이 있었구나’ 내뱉었던 탄성이 바가지요금 때문에 탄식으로 바뀌어서야 되겠나. 외국인 관광객 커뮤니티에서 ‘K-바가지’라는 조롱 어린 신조어가 하루빨리 사라졌으면 한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wang releases handwritten statement, denies sex video claims
- Warner offered to buy Fifty Fifty: production company
- [THINK ENGLISH] 한국 항공사들, 중국 노선 중단 시작
- BTS Jungkook's past songs fly up music charts before singer's solo debut
- Aspartame scandal freaks out Korea's zero sugar industry
- IAEA backs Japan's plan to release Fukushima water
- Seoul mayor suggests immigration offers fix to low birthrates
- Agencies deny that Yoona and Junho are dating
- Fifty Fifty reveals phone conversation with Warner Music Korea over poaching controversy
- Five Guys serve up sizzling start to Korean fo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