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공주 무덤서 나온 '비단벌레 장식'의 비밀 밝혀졌다

안시욱 2023. 7. 5. 09: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상북도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 현장 전경.

비단벌레 껍질로 만든 이 장식은 황남대총과 천마총 등 최상위 계층인 왕족들의 무덤에서만 발견된 유물이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직물 말다래' 재현품.

문화재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발굴 성과시사회를 열고 44호 무덤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성과발표회
5세기 후반 신라 공주 무덤으로 추정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처음 발견돼
경상북도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 현장 전경. 안시욱 기자.

경주 황오동 쪽샘지구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신라고분군이 자리잡고 있다.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들이 대량으로 확인되면서 2007년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됐다. 1000기의 봉분 무덤 가운데서도 세간의 집중을 사로잡은 건 쪽샘 44호 무덤. 약 1500년 전의 신라 공주가 잠들었으리라 추정되는 곳이다.

쪽샘 44호분 피장자 상상도. 문화재청 제공.

2014년 5월부터 이뤄진 44호 무덤의 정밀 발굴 조사는 9년간의 일정으로 지난달 마무리됐다. 5세기 후반 만들어진 쪽샘 44호 무덤은 전형적인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 구조를 띤 고분이다.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고, 그 위로 흙을 덮어 놓은 형태다. 규모는 동서로 30.8m, 남북으로 23.1m다. 130cm 남짓의 10대 왕실 공주가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에서 780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그 가운데도 관심을 끄는 것은 영롱한 청록빛의 물방울 모양의 장식물이다. 비단벌레 껍질로 만든 이 장식은 황남대총과 천마총 등 최상위 계층인 왕족들의 무덤에서만 발견된 유물이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비단벌레 꽃잎장식이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는데 이번에 그 비밀을 밝혀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직물 말다래' 재현품.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발굴 성과시사회를 열고 44호 무덤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비단벌레 장식이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에 부착됐다는 점을 처음 확인했다. 말다래는 말의 안장 밑에 길게 늘어뜨린 직물을 뜻한다. 지금껏 신라 고분에서 확인된 말다래는 ‘천마도’ 장식을 모티브로 해왔지만, 비단벌레를 꽃잎 모양으로 장식한 형식이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44호 무덤의 말다래는 대나무살을 엮어서 만든 바탕 틀 안쪽에 직물을 덧대고, 그 위에 비단벌레 장식을 십(十)자로 배치한 모양이다.

말다래뿐만 아니다. 무덤 주인공의 생활양식과 신분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드러났다. 피장자 머리맡에 놓인 금동관 주변에서 발견된 유기물 다발의 과학적 분석 결과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판명됐다. 머리카락과 수직으로 배치된 직물의 흔적을 통해 머리를 묶거나 땋아서 꾸민 당대의 복식을 짐작할 수 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유기물 다발. 검사 결과 인간의 머리카락으로 드러났다. 문화재청 제공

썩어 없어지기 쉬운 유기질 직물들을 수습한 것도 중요한 성과다.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졌던 ‘삼색경금(三色經錦)’의 실물이 처음 발견됐다. 홍색, 자색, 황색 세 가지의 색실을 사용해 무늬를 그려낸 직물이다. 이 중 홍색과 자색은 각각 염색약의 원료가 꼭두서니(주황색 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 덩굴풀)와 자초(말린 지치 뿌리)란 사실도 드러났다. 신라 무덤에서 찾아낸 신발에 동물의 가죽과 실의 흔적을 발견한 것도 이번이 유일한 사례다.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발견된 금동신발 안쪽에서 산양의 털로 실을 만들고, 그 실을 이용해 피혁을 꿰맨 흔적이 처음 확인됐다. 

4일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쪽샘 44호 무덤 발굴조사 성과시사회에서 부장품들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호화로운 장신구들은 당시의 뛰어난 금속공예 수준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훼손되기 쉬운 유기물들을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다량으로 수습한 것도 귀중한 성과”라며 “고대 삼국시대의 복식을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