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한령에 대기업도 못 버텼다…"현대차 中법인 매출 6년 새 75%↓"

신건웅 기자 2023. 7. 5.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년간 매각·청산 법인 수만 46곳…기아 매출도 80.8% 줄어
LG엔솔·삼성SDI·SK온은 성장 지속…반도체도 실적 선방
중국 생산법인 매출 감소 상위 기업

(서울=뉴스1) 신건웅 기자 = 중국 한한령 등이 본격화한 지난 2016년 이후 국내 대기업들이 중국에서 매각하거나 청산한 생산법인 수가 46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법인의 매출 규모만 20조원에 육박한다.

그나마 버티고 있는 국내 대기업의 중국 법인 매출 규모도 13.1% 줄었다. 한국 대표 기업인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각각 75%, 43% 급감했다.

드러나지 않은 사업까지 합치면 국내 기업의 대 중국 투자 손실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중국 생산법인 실적을 공시한 113곳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 13.1%(16조6868억원) 줄었다. 지난 2016년 합산 매출액은 127조7292억원이었지만, 지난해는 111424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중국 매출이 급증한 배터리, 반도체 관련 기업을 제외하면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액은 2016년 117조2300억원에서 지난해 73조4485억원으로 43조7815억원(37.3%)나 급감했다.

한한령으로 국내 기업들에 대한 제재가 본격화한 이후에도 미·중 무역 갈등, 공급망 위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 위기 상황이 지속되면서 국내 주요 기업의 대 중국 사업이 후퇴를 거듭한 것으로 CEO스코어는 평가했다.

업종별로는 과거 중국에서 강세를 보였던 자동차, 전자 대표 기업들이 중국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는 반면 배터리, 반도체 등은 성장을 이어갔다.

지난 6년간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현대차(005380)다. 현대차 중국법인인 '북경현대기차'의 매출액은 2016년 20조1287억원에서 지난해 4조9003억원으로 15조2284억원 줄었다. 국내 기업 중 10조원 이상 매출이 감소한 업체는 현대차 중국법인이 유일하다.

같은 기간 기아(000270)의 중국법인 '강소열달기아기차' 매출도 9조7996억원에서 1조8835억원으로 80.8%(7조9161억원) 급락했다. 현대차·기아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은 6년 새 5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기아의 추락은 국내 부품 업체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현대모비스(012330)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은 1조7051억원으로, 2016년 8조8746억원 대비 80.8%(7조1695억원) 줄었다. 또 현대트랜시스(-55.1%)와 현대위아(-62.7%), 성우하이텍(-71.4%), 현대케피코(-74.3%) 등도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삼성전자(005930)도 스마트폰 및 가전부문 위축으로 2016년 17조1236억원이었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지난해 43.5% 줄어든 9조6798억원에 그쳤다. 지난 2021년 중국 생산법인인 'Samsung Electronics Huizhou'를 청산한 것이 매출 감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디스플레이 중국법인 매출도 같은 기간 10조7831억원에서 5조4035억원으로 49.9%(5조3796억원) 급감했다.

국내 자동차·전자 대표기업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6년 새 절반 이상 쪼그라든 데 반해 배터리·반도체 기업들은 중국 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성장을 이어갔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373220)·삼성SDI(006400)·SK온 등 K-배터리 3사는 중국에서 역대급의 실적으로 대박을 터트렸다.

LG에너지솔루션의 지난해 중국법인 매출액은 12조8458억원으로, 지난 2016년 2조4167억원 대비 무려 431.6%(10조4291억원)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삼성SDI 중국법인 매출도 9298억원에서 5조4250억원으로 483.5%(4조4952억원) 성장했다. 이차전지 관련 생산법인 중 하나인 'Samsung SDI (Tianjin) Battery'는 2558.7%라는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2019년 중국에 신규 법인을 설립한 SK온 역시 지난해 2조979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안착했다.

K-반도체의 매출 성장도 눈에 띈다. 삼성전자의 중국 내 반도체 생산법인 중 하나인 'Samsung (China) Semiconductor'의 매출액은 2016년 4조1521억원에서 지난해 9조6798억원으로, 133.1%(5조5277억원) 증가했다. SK하이닉스(000660)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액도 2016년 3조6억원에서 지난해 7조5454억원으로, 4조5448억원 늘었다.

이외에 LG화학(051910)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6년 새 179.4%나 치솟았고, LG디스플레이(034220)(38.7%), 효성티앤씨(298020)(182.3%),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38.1%), 삼성전기(009150)(21.0%) 등의 중국법인 매출도 크게 증가했다.

업종별 중국 생산법인 매출 변동 현황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업종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자동차·부품 기업들의 중국법인 매출액은 19조4357억원으로, 2016년 55조4686억원에 비해 36조329억원이나 급감했다.

또 △생활용품(-2610억원) △건자재(-532억원) △철강(-355억원) 등도 중국 매출이 감소했다.

반면 IT전기전자 업종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은 크게 증가했다. 2016년 55조9709억원을 기록했던 IT전기전자 기업들의 중국법인 매출액은 지난해 68조4533억원으로, 12조4824억원 확대됐다.

이어 △석유화학(6조290억원) △식음료(6809억원) △조선·기계·설비(3399억원) 순으로 매출 증가 폭이 컸다.

한편 한한령 이후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법인이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지난 6년 간 매각되거나 청산된 중국법인이 46곳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각된 중국 생산법인은 30개사, 청산된 법인은 16개사에 달했다. 매각된 중국법인의 매출액은 2016년 기준 6조5945억원, 청산 법인은 13조1981억원에 달했다.

ke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