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외교무대 복귀…중·러 주도 상하이협력기구, 이란 가입 승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유라시아 지역 협력기구인 상하이협력기구(SCO)가 4일 정상회의를 열어 이란을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
상하이협력기구는 1991년 말 소련이 붕괴된 뒤 러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국경 관리를 위해 1996년 만든 '상하이 파이브'를 모태로 해 2001년 출범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동안 이란의 정식 회원국 가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유라시아 지역 협력기구인 상하이협력기구(SCO)가 4일 정상회의를 열어 이란을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질서에 대항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한 모양새지만, 인도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올해 회의를 대면이 아닌 화상으로 여는 등 미묘한 모습을 연출했다.
올해 상하이협력기구 의장국인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이날 화상으로 열린 정상회의에서 “오늘 이란이 새 회원국으로 합류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이로써 2000년대부터 가입을 추진해온 이란의 회원국 가입 절차가 마무리됐다. 용병 집단 바그너(와그너)그룹 반란 사태로 큰 곤욕을 치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다자 외교 무대에 복귀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인들은 전례 없이 통합되어 있다”며 “정치권과 사회 전체는 무장 반란에 맞서 단결해 대응했다”고 말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바그너그룹 무장 반란 기도에도 정권이 안정적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상하이협력기구는 1991년 말 소련이 붕괴된 뒤 러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국경 관리를 위해 1996년 만든 ‘상하이 파이브’를 모태로 해 2001년 출범했다. 이후 중국과 러시아가 중심이 된 경제·안보 협력기구로 발전해왔다. 2017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가입했고, 이란은 ‘옵서버’(참관국)로 참여해왔다. 이란은 미국이 2018년 이란 핵협정(JCPOA)을 일방 파기한 뒤 여러 경제 제재를 받고 있다. 그러는 사이 이란과 상하이협력기구 회원·옵서버 국가들의 지난해 3~8월 무역 규모는 170억달러(원유 제외)로 전년 같은 기간에 견줘 31%나 늘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동안 이란의 정식 회원국 가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미-중 전략 경쟁이 치열해진데다 지난해 2월 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와 서방 간의 갈등도 커지며 정식 회원국 가입에 속도가 붙었다. 러시아의 ‘형제국’으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데 길을 내준 벨라루스도 정식 회원국 가입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미국과 그 동맹국으로 구성된 주요 7개국(G7) 회의 등에 맞설 수 있게 덩치를 불리는 모습이다.
하지만 올해 의장국인 인도는 5월30일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대면이 아닌 화상 회의를 결정했다. 아린담 바그치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일 브리핑에서 대면이 아닌 화상으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자 “모든 요소를 고려해 이런 형식이 최선이라고 결정했다”고 답했다. 지난해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대면 회의가 열렸었다.
이 결정을 내린 뒤 모디 총리는 지난달 20일부터 사흘간 미국을 국빈 방문해 양국 간 투자, 교역, 인적 교류와 군사·방산·기술개발 협력, 외교관계 강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인도는 올해 주요 20개국(G20) 회의 의장국이고,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가 뭉친 협의체인 ‘쿼드’에도 엉덩이를 걸치고 있다.
이날 러시아와 인도, 중국 정상들 발언에서도 서로 다른 속내가 읽혔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외부의 압력과 제재, 도발에 자신 있게 저항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맞서 싸울 것”이라며 자국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서방의 제재를 비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을 겨냥해 “일방적인 제재와 보호주의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모디 총리는 세계 식량 위기 등에 대해 언급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전쟁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강남3구 최대 수혜 윤석열표 ‘부자감세’ 특징은 ‘일단 깎고보자’
- ‘일본-IAEA 합작’ 오염수 방류 최종보고서…우리 정부는 침묵했다
- 강제동원 “공탁 안 받겠다” 뜻 밝힌 4인…시민 모금 하루새 1억 돌파
- 경희대 교수 “오염수 이미 방출됐어야”…일본 언론 인터뷰
- 법원 ‘강제동원 피해 정부 공탁금’ 4건 모두 거부·반려
- 용산 ‘집시법 인기투표’ 보란듯…‘퇴근길 집회 묻지마 금지’ 급제동
- 김용판 “대구의원 싹 바꾸라 하지 마이소”…홍준표 “재선 돕겠다”
- 정부 개입 논란 내년 최저임금…사용자 쪽 ‘30원 인상 수정안’ 제시
- 연체율 초비상 새마을금고 100곳 검사·점검…일부 통폐합 불가피
- 푸틴 외교무대 복귀…중·러 주도 상하이협력기구, 이란 가입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