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탈모 치료제 나올까… 카이스트 연구진, 주범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원형탈모를 유발하는 핵심 세포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은 4일 만성 염증 질환인 원형탈모증의 발병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박수형 교수는 "가상기억 T 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자극 때문에 활성화된 후 오히려 염증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준 연구 결과"라며 "다양한 만성 염증 질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원형탈모를 유발하는 핵심 세포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은 4일 만성 염증 질환인 원형탈모증의 발병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원형탈모 환자의 피부 조직·혈액과 원형탈모를 유도한 쥐의 피부·림프절을 분석, ‘가상기억 T세포’에서 유래한 새로운 면역세포군이 원형탈모증 발병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가상기억 T세포는 다른 T세포와 달리 자극을 받지 않고도 기억면역세포와 비슷한 특징을 갖는 세포를 뜻한다.
바이러스·박테리아·기생충 감염을 제어하고 암세포를 없애는데 작용한다고 알려졌지만, 염증과 관련한 여러 단백질인 사이토카인 반응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연구진은 피부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IL-12·15·18)이 가상기억 T세포를 활성화해 높은 세포독성 능력을 갖는 면역세포군으로 분화하고, 이렇게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수용체(NKG2D)를 통한 세포독성 작용으로 모낭세포를 파괴해 원형탈모증을 유발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사이토카인과 수용체(NKG2D) 기능을 억제해 원형탈모증 발생을 막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는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석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박수형 교수는 “가상기억 T 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자극 때문에 활성화된 후 오히려 염증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준 연구 결과”라며 “다양한 만성 염증 질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이뮤놀로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쿨존 옆인데 하마터면… 대낮 만취운전 차량 5대 ‘ 쾅쾅’
- 헌재 "금괴 4만㎏ 밀반출 벌금 6천억 위헌 소송" 합헌 결정
- 상인과 화기애애 덕담, 윤 대통령 단골집서 옹심이 저녁
- 원주 성매매 집결지 ‘희매촌’ 불법 영업 재개 조짐에 칼 빼들었다
- 속초·양양 앞바다서 죽은 상어 잇달아 발견… 해경 "안전 주의해야"
- 합참, 공포탄 발사해 민통선 무단통과 저지한 초병 포상휴가 검토
- 윤 대통령 춘천 온 날 천공도 포착…“춘천 기 다스리러 왔다”
- 강릉 주문진 앞바다서 160㎏ 초대형 참치 잡혀
- 설악산서 천종삼 8뿌리 캐 화제… “모삼 2뿌리 85년 추정” 가격은?
- 방탄소년단 뷔가 꼽은 막국수집 원픽은 원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