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돌아온 바가지 상혼

심윤희 기자(allegory@mk.co.kr) 2023. 7. 4.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후 전국 곳곳에서 축제가 열리고 해외 관광객 유입도 늘어나고 있다. 축제와 여행이 돌아온 것은 반가운 일인데 문제는 '바가지 상혼'도 함께 돌아왔다는 것이다. 지난 5월 경북 영양 '영양 산나물 축제'에서 옛날 과자 한 봉지(1.5㎏)를 7만원에 파는 장면이 지상파 TV를 통해 공개되면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점화됐다. 비난이 폭주하자 판매 상인과 영양군이 홈페이지에 대국민 사과문을 올리기까지 했다.

하지만 바가지 상술은 영양군뿐만이 아니다. 춘천 막국수축제에서는 손바닥만 한 감자전 3장을 2만5000원, 강릉 단오장에서는 얼음 슬러시를 8000원에 팔아 논란이 일었다. 한 일본인 유튜버는 함평 나비축제에서 어묵 한 그릇이 1만원에 팔리는 바가지 요금 피해담을 영상으로 올리기도 했다.

외국 관광객이 몰리는 명소도 마찬가지다. 서울 명동 노점에서도 붕어빵 4개에 5000원, 오징어구이 1만2000원, 닭꼬치는 5000원에 팔리고 있다. 아무리 물가가 치솟았다고 하더라도 길거리 음식 치고는 비싼 가격이다.

얄팍한 바가지 상술은 우리 사회의 해묵은 고질병이다. 특히 여름철 휴가지에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값, 숙박비를 바가지 씌우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수요가 폭발하면 가격이 오를 수는 있지만, 터무니없는 가격을 부르는 '한탕주의'는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특히 요즘처럼 스마트폰으로 모든 것이 검색되고 비교되는 시대에 바가지 요금이 통할 리 만무하다. "한철 장사라서 어쩔 수 없다"는 옹색한 변명은 실망한 관광객의 발길만 돌리게 할 뿐이다. 게다가 바가지 요금은 이제 우리 국민만의 이슈가 아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에게 바가지 요금은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밖에 없다. 피해 사례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퍼지면 K컬처로 쌓아올린 좋은 이미지가 한순간에 무너져내릴 수도 있다. 바가지 요금이 지역축제와 관광객 유치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상인들은 자정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근절에 나서야 한다.

[심윤희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