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여 휴식 끝내고 탐방객 맞는 용눈이오름 “이젠 아껴주세요”

박미라 기자 2023. 7. 4. 16: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휴식년제 종료···이달부터 탐방 재개
과도한 탐방객으로 심각했던 훼손 지점 복원
“다시 훼손 순식간…재개 후 탐방인원 관리 필요”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하기 이전인 2019년10월 탐방객의 발길로 훼손된 용눈이오름 정상부 입구모습(왼쪽)과 2년4개월간의 휴식년제 이후 탐방이 재개된 지난 2일 용눈이오름 정상부 입구 모습(오른쪽). 박미라 기자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하기 이전인 2019년10월 탐방객의 발길로 훼손된 용눈이오름 정상부 모습(왼쪽)과 2년4개월간의 휴식년제 이후 탐방이 재개된 지난 2일 용눈이오름 정상부 모습(오른쪽). 박미라 기자

지난 2일 제주시 구좌읍 용눈이오름. 탐방객이 몰고 온 렌터카와 관광버스 등으로 주변 도로까지 북적였던 예전과 달리 주차장은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만을 채운 20여대 차량이 주차돼 한산했다. 탐방 재개가 이뤄진 지 이틀째에 불과한데다 비가 오락가락하는 장마 기간인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용눈이오름은 2년4개월 간의 휴식을 끝내고 이달부터 다시 탐방객을 맞이하기 시작했다. 제주도는 2021년 2월부터 용눈이오름의 식생복원을 위해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했고 올해 상반기 탐방로를 정비한 후 이달부터 출입 금지를 해제했다고 4일 밝혔다.

예전 용눈이오름은 탐방객이 과도하게 밀려들면서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제주참여환경연대가 휴식년제 이전인 2019~2020년 측정한 탐방 인원을 보면 억새가 장관을 이루는 가을에는 시간당 최고 500명이 넘는 인원이 오름을 올랐다. 1일 3000~4000명, 한달 10만명에 이르는 인파가 몰린 셈이다.

탐방객이 많다보니 탐방로에 야자수매트를 깔아도 금세 닳아 없어지기 일쑤였다. 용눈이오름은 경사가 완만하고 정상까지 등반 시간이 짧아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오를 수 있는 오름으로 유명하다. 휴식년제 이전에는 개별관광객 뿐만 아니라 수학여행단과 같은 단체관광객도 다수를 이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탐방로는 연중 흙이 파이고 바닥을 드러냈다. 오름 정상부는 암반이 부서지면서 깨진 돌들이 모습을 드러내는 등 훼손이 심각했다. 오름은 지반이 화산분출물인 스코리아(화산송이)로 이뤄져 잘 부서지는 특징이 있다. 탐방로를 벗어나는 이들로 인해 훼손 범위도 지속적으로 넓어졌다.

2년여의 휴식을 마친 용눈이오름은 과거와 달리 탐방로 주변으로 각종 식물이 빽빽하게 자라있었다. 훼손이 심각했던 정상부는 야자수 매트가 빈틈없이 깔렸고, 주변에는 각종 식물들이 자라 흙을 드러냈던 바닥을 촘촘히 메웠다.

다만 오름 분화구를 따라 한바퀴 둘러볼 수 있었던 정상부 탐방로는 동쪽 방향으로 절반 정도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됐다. 동쪽 지역 정상부 역시 울타리가 생겨 탐방객이 이동하며 관람할 수 있는 구간은 예전에 비해 좁아졌다. 제주도 관계자는 “용눈이오름은 원래 사유지”라면서 “오름 소유주가 정상 부근 탐방로 일부 출입을 제한했다”고 말했다.

용눈이오름 휴식년제 종료 이후에도 식생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집중조사구역. 박미라 기자
“우린 어떻게 지나가라고? ”… 지난 2일 용눈이오름 탐방로를 차지하고 있는 방목 말. 박미라 기자

제주도는 용눈이오름 휴식년제가 종료됐지만 제주참여환경연대와 함께 지속적으로 오름의 식생복원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탐방로 곳곳에 ‘오름훼손지 집중조사구역’이 지정됐고 매월 식생 현황을 관찰한다.

하지만 식생 회복의 지속 여부는 용눈이오름을 찾는 인원이 얼마나 늘어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사회단체와 환경 전문가들은 휴식년제도 필요하지만 탐방객이 몰리는 기간에 인원을 제한하거나 예약제를 도입하는 등 오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또 탐방객들이 지정된 탐방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등 오름 탐방과 환경보전을 위한 탐방 방법 안내나 사전교육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새별오름과 금오름, 백약이오름 역시 뛰어난 풍광이 입소문을 타면서 인파가 몰려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는 “용눈이오름 개방이 너무 빠른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 휴식 기간 억눌렸던 수요가 또 집중되면 순식간에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 “개방을 하더라도 수용 범위 내에서 탐방이 이뤄지도록 하는 인원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제주도 예산과 인력 지원은 매우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