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인기는 현재진행형… 통신 3사, 2분기에 가입자 ‘22만명’ 뺏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뜰폰(MVNO)의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통신 3사가 5G(5세대 이동통신) 중간요금제를 내놓는 등 공세를 펼치는 상황에서도 매달 6만~7만명이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옮겨가고 있다.
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전화 번호 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간 가입자는 22만829명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통신 3사 가입자는 지난 1월 7만1086명이 알뜰폰으로 이동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알뜰폰 가입자 44만명 순증
위기감 커진 통신 3사, 청년요금제 등 반격 나서
통신 3사 재유입 가입자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
정부 알뜰폰 육성 집중 “도매대가 인하 필수”
알뜰폰(MVNO)의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통신 3사가 5G(5세대 이동통신) 중간요금제를 내놓는 등 공세를 펼치는 상황에서도 매달 6만~7만명이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옮겨가고 있다.
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전화 번호 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간 가입자는 22만829명을 기록했다.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넘어간 유입 회선(Port-in)에서 유출 회선(Port-out)을 제외한 순증(純增) 기준이다.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갈아타는 가입자 수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1분기에만 22만636명이 알뜰폰으로 갈아탔고 2분기를 포함하면 상반기에만 44만1465명이 통신 3사를 등지고 알뜰폰으로 옮겼다. 이는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다시 옮겨간 18만139명 대비 2배를 웃도는 수치다.
구체적으로 통신 3사 가입자는 지난 1월 7만1086명이 알뜰폰으로 이동했다. 이후 2월 신학기 효과로 8만6538명으로 늘었다가 3월과 4월 각각 6만3012명, 6만5098명으로 예년 수준을 보였다. 0원 요금제가 인기를 끈 지난 5월 다시 7만6821명으로 늘었고 지난달에는 7만8910명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통신 3사로 넘어간 알뜰폰 가입자를 제외한 알뜰폰 ‘유입 회선’만 보면 상승세가 더 뚜렷하게 보인다. 지난 5월 알뜰폰 유입 회선은 11만7513명으로 통계를 작성한 2012년 4월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지난달의 경우 유입 회선이 전월 대비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11만5395명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37.6% 급증했다.
알뜰폰의 인기는 전체 번호이동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알뜰폰으로 옮겨가는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지난달 전체 번호이동 건수는 49만5970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2.2% 늘어난 수치다. 알뜰폰을 키워 시장 경쟁을 촉진하겠다는 정부의 노력이 번호이동 건수 증가로 나타난 것이다.
알뜰폰으로 옮겨가는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통신 3사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통신 3사는 결합 혜택을 늘리고 알뜰폰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는 5G 요금제를 세분화하는 등 차별화에 집중하고 있다. 또 알뜰폰 신규 가입자의 70% 이상이 MZ세대인 만큼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차별화된 청년요금제 등을 내놓고 있다. 이런 노력은 수치로 확인된다.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하는 가입자가 늘어나는 만큼 알뜰폰에서 통신 3사로 되돌아가는 가입자 수도 올해 초까지 월평균 2만명대에서 3만~4만명대로 늘었다.
한편 알뜰폰을 키우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계속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6일 ‘통신 시장 경쟁 활성화 방안’에서 알뜰폰 육성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업계는 통신 3사의 독과점 체제를 허물고 시장 경쟁을 촉진시키기 위해 과기정통부가 자체 설비를 갖춘 풀 MVNO 도매대가 인하, 사물인터넷(IoT) 회선 산정 제외, 통신 3사 알뜰폰 자회사 점유율 제한 등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회장(세종텔레콤 회장)은 “통신 3사가 영업 보조금(판매 장려금)을 통해 알뜰폰 산업을 흔드는 만큼 정부는 제도개선을 통한 알뜰폰 사업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라며 “알뜰폰 사업자가 자유로운 요금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도매의무 제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했다.
☞도매제공 의무 제도
도매제공 의무 제도는 협상력이 약한 알뜰폰 사업자를 돕기 위해 정부가 대신해 통신사와 협상에 나서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지난해 9월 의무 제도가 일몰되면서 법적인 효력이 사라진 상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