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혁명發 번영 혹은 분열...가드레일 세워야 [마누엘 무니즈 - HIC]
이 기사는 해외 석학 기고글 플랫폼 ‘헤럴드 인사이트 컬렉션’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AI혁명發 번영 혹은 분열...가드레일 세워야
지난 3월 하순께 세계는 이른바 ‘인공지능(AI) 시대’에 진입했다. 3월 14일을 시작으로 2주 사이에 ‘GPT-4’ ‘미드저니 v5(Midjourney v5)’ ‘바드(Bard)’, AI 도구인 ‘코파일럿(Copilot)’과 ‘캔바(Canva)’ 등 수많은 도구가 출시됐다. 이들의 코드·이미지·영상 등 텍스트 생성능력은 대다수 전문가의 예측을 훨씬 능가했다. 오히려 예상보다 10~20년 앞서 등장했다고 보는 편이 옳다. 여기에 기술 발전의 기하급수적 성격을 고려하면 10년 또는 15년 뒤 AI세상이 어떻게 변모해 있을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분명 현재와 전혀 다른 모습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렇다면 AI는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우선, 생산성은 더 향상될 것이다. 다른 기술적 진보와 마찬가지로 AI로 인해 인간이 처리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들은 사라질 운명을 피하기 어렵다. 이 효과는 특히 연구 분야에서 두드러질 수 있다.
가령 바이오·의학 분야에서 유례없는 발전이 예상 가능하다. 알파폴드(Alpha Fold)가 이룬 최근의 성과가 바로 그 예다. 알파폴드는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 Mind)의 자회사로,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통해 단백질의 구조 예측에 성공했다. 이는 의약 개발 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폭발적인 생산력 향상에 따라 AI의 개발과 활용은 세계 각국에서 ‘국가적 우선순위’가 될 게 자명하다. 경제적 경쟁력은 이에 좌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국은 AI 인재를 양성·유치·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국가적인 AI산업 기반을 마련하려는 노력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그 결과, AI 혁명의 기본 요소인 데이터와 컴퓨팅 용량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진다. 갑자기 반도체와 마이크로 칩 거래가 국가적 수입(收入) 문제로 떠오를 것이다. 이 상품들을 만드는 공급업체의 주식가치가 이런 변화를 나타내는 바로미터다.
생성형 AI 도구가 급속도로 활용되면 고용, 특히 소득 분배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AI가 기본 텍스트, 이미지 그리고 영상의 생성을 촉진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이들의 생성과 관련한 직업이 갖는 함의도 커지게 된다. 만약 이 기술이 다른 혁신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 소득은 노동이 아닌 자본에 집중되는 현상이 훨씬 더 뚜렷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생산자본을 소유한 기업가, 사업체 대표, 기술개발자 등이 이 혁명의 막대한 수혜자가 될 것이다. 그래픽디자이너, 작가 또는 관리보조원 등 전통적인 노동소득자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AI 시대와 더불어 지속 가능성의 문제, 생산성 등에서 생겨나는 혜택이 사회 전체에 잘 배분되도록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I의 발전은 당연히 학습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육 전달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용이해지면서다. AI 기반의 챗봇을 이용하면 사실상 누구나 세계 최대의 데이터베이스뿐 아니라 지금까지 구축된 가장 강력한 조언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챗봇은 교육에 대한 조언을 생성하고, 심지어 필요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니 학습의 폭발적 증가도 예상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새로운 현실에 어떻게 적응해갈 것인가다. 이런 도구의 수용을 거부하고 교수법을 개선하지 않는 학술기관이라면 AI의 발전은 특히 어려운 과제가 될 수 있다.
끝으로 AI 시대는 국제 정치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기술 관련 국제무대에서 국가의 이익과 가치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술 외교’도 발전시켜야 한다. 이런 각종 기술의 ▷적절한 사용 보장 ▷기본 윤리 기준 준수 보장(특히 소셜미디어의 기술 이용) ▷무기 체계 활용에 대한 한계 설정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질서 보장 등을 우선순위로 꼽을 수 있다. 이 쟁점 가운데엔 국가 차원의 규제가 긴요한 것도 있을 테지만 상당수는 전 세계적 대응이 필요하다.
AI 혁명은 우리 사회에 거대한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 기술 자체는 사회·경제적으로 ‘가치 중립적’이다. 그저 도구일 따름이다. 기술이 가진 위험성보다 기술의 장점을 더 많이 누리기 위해 필요한 ‘가드레일’을 세우는 건 우리들, 우리 기업과 정부에 달렸다. 제대로 관리한다면 AI는 훨씬 더 생산적이고 번영하는 세상을 만들 수도 있다. 질병에서부터 교육 부족에 이르는, 인류의 가장 시급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세상 말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경제·사회적 분열과 깊은 불안에 빠지게 될지도 모른다. 선택은 전적으로 우리의 몫이다.
마누엘 무니즈 스페인 IE대 학장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수홍, 형수 명예훼손 재판 증인 출석…"비공개 요청"
- ‘경영권 분쟁’ 하이브 vs 어도어, 오늘 이사회…입 연 뉴진스 “마음 무거워”
- 美 미인대회 우승자들, 줄줄이 ‘왕관’ 자진 반납…왜?
- “절대 적은 금액 아닌데” 임영웅, 역시 미담자판기…3년전 일화 공개됐다
- ‘음주운전’ 배성우 4년만에 복귀…“모든 분께 죄송”
- '눈물의 여왕' 김수현의 눈물 장면 40회, 출연배우만 793명…숫자로 보는 비하인드
- “12년간 숨기느라 지쳤어요”…‘깜짝 고백’ 30대 英배우의 비밀, 박수받은 사연
- ‘SNL 방송 중 흡연’ 기안84, 결국 과태료 10만원 처분
- 선우은숙 ‘동치미’ 자진 하차…“부담 주고 싶지 않다”
- “여전히 빅뱅 팔이”…승리, 갑부 생일파티서 ‘뱅뱅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