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과 협박으로 사우디 압박… ‘페트로 달러’ 구축한 외교 달인

홍익희 전 세종대 교수 2023. 7. 4.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익희의 新유대인 이야기] [64]
현실주의 외교 펼친 키신저의 리더십
헨리 키신저가 지난달 20일 자신의 고향인 독일 바이에른주 퓌르트에서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훈장’을 받아 들어 보이고 있다. 키신저는 올해 5월 27일 100번째 생일을 맞았다. /DPA 연합뉴스

헨리 키신저는 1923년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유대인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잡자 유대인 아이들은 툭하면 길에서 두들겨 맞았다. 단지 유대인이라는 이유였다. 어린 키신저는 학교에서도 청소년 갱단의 폭력에 시달렸다. 반유대주의에 생명의 위협을 느낀 그의 가족은 키신저가 열다섯 살 때 피난길에 올라 1938년 8월 뉴욕으로 이민을 왔다. 대학살이 시작되기 석 달 전이었다. 그 뒤 키신저는 면도기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 고등학교를 다녔다. 이후 뉴욕 시립대학에서 회계학을 공부하다 1943년 미군에 입대했다. 이로써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고 2차 대전에도 참전했다. 어린 시절 폭력을 피해 도망쳤던 고향 독일에 이번에는 점령군 자격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키신저는 국가 간 힘의 충돌을 몸소 체험했다. 이는 훗날 그의 현실주의 외교의 토대가 된다.

전후 제대 군인 장학금으로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그는 대학원 때 지도교수 도움으로 정부 컨설팅 일을 했다. 그 과정에서 1951년 한국에 와서 전쟁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이후 1954년 비엔나조약 분석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에서 국제정치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정부 관련 일을 계속했다. 1957년 ‘핵무기와 외교’라는 저서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대량 보복 전략’을 비판해 학자로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흥미롭게도 당시 소련 군부도 키신저의 저서를 높이 평가했다.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성사시켜

키신저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미국의 국익을 위해서라면 어떤 수단이든 서슴지 않았던 현실주의자인 키신저가 처해 있던 시대 상황을 보자. 키신저는 1969년 닉슨이 미국 대통령이 되자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발탁됐다. 1971년 7월 키신저는 죽의 장막에 가려있던 베이징을 극비 방문해 이듬해 닉슨의 중국 방문을 성사시켰다. 미국은 중국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소련을 견제하려고 했다. 또 1972년 제1차 미소 전략무기제한협정과 이듬해 병력 감축 협상으로 소련과 데탕트 정책을 이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키신저는 핵전쟁 카드로 소련을 움직여 북베트남을 협상장으로 끌어내어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이 공로로 1973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으나 정작 평화가 찾아온 것은 사이공이 함락되어 남베트남이 항복한 1975년 4월 말이었다.

1973년 초 닉슨이 재선되자 국가안보보좌관 직책에 국무장관까지 겸임하게 됐다.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 사건 때 키신저의 빠른 판단과 도움으로 김대중은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현실 정치 신봉자인 키신저가 1969년부터 1977년까지 이룬 많은 외교 정책 중 가장 큰 업적은 추락하던 달러의 위상을 회복시킨 ‘페트로 달러 체제’ 구축이었다. 그 과정을 살펴보자.

1944년 7월 미국이 주도한 브레튼우즈 회의에서 영국 대표 케인스가 제안했던 세계화폐는 거부되었고 미국의 의도대로 달러 중심의 금환본위제도가 확립되었다. 35달러를 금 1온스와 교환해주는 금태환을 보장했다. 그즈음 미국은 전 세계 금의 80% 이상을 갖고 있었다. 1965년 암살당한 케네디 대통령을 승계한 존슨이 베트남 전쟁을 확대하면서 경제는 수렁으로 빠져들었다. 그는 부족한 재정을 메우기 위해 연준에 금 보유와 상관없이 달러를 더 발행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는 브레튼우즈 체제 참가국들을 속이는 행위였다. 연준은 대통령의 압력에 굴복해 화폐 발행량을 늘렸다. 그러자 금환본위제 아래에서 물가가 6%까지 치솟았다.

1960년대 미국의 금 보유는 전 세계 금의 절반 이하로 줄었음에도 오히려 1971년 들어 달러 통화량은 10%나 늘어났다. 이에 불안을 느낀 서독이 그해 5월 브레튼우즈 체제를 탈퇴했다. 그러자 다른 나라들도 동요하며 달러를 의심하기 시작했다. 스위스가 먼저 7월에 5000만달러를 금으로 바꾸어갔다. 이어 프랑스도 1억9100만달러를 금으로 태환해갔다. 8월에는 스위스가 브레튼우즈 체제를 떠났다. 1971년 8월 9일 영국마저 경제 대표가 재무부에 직접 찾아와 30억달러를 금으로 바꿔 달라고 요구했다. 미국 정부는 국가 부도 사태를 불러올지도 모르는 비상 국면에 직면한 것이다.

1971년 8월 13일 닉슨은 측근 참모 16명을 데리고 캠프데이비드 밀실 회의실로 들어갔다. 회의는 사흘간 이어졌다. 15일 정오 TV에 등장한 닉슨이 “더 이상 달러를 금으로 바꿔줄 수 없다”는 금태환 정지 선언을 발표했다. 이른바 ‘닉슨 쇼크’였다. 동시에 닉슨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물리는 보호무역 조치와 90일간 임금과 물가를 동결하는 인플레이션 대책도 함께 발표했다. 닉슨은 ‘평화의 도전’이란 특별 담화문에서 “최근 몇 주 투기꾼들이 달러에 대한 전면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 따라서 저는 재무장관에게 통화 안정과 미국의 이익을 위해 달러의 금 교환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도록 지시했습니다”라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이후 일시적 중단이 영구적 중단이 되었다. 이로써 달러는 전적으로 미국의 신용에 기초한 ‘신용 화폐(Fiat Money)’가 되었다. 이렇게 미국이 하루아침에 금과 달러의 연결고리를 끊어버림으로써 그간 금 교환권이라고 믿어온 달러를 종잇조각으로 전락시켰다. 국제 외환시장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무엇보다 달러가 기축통화의 위상을 상실했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오일 쇼크가 덮쳤다. 1973년 10월 6일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4차 중동전쟁이 발발했다. 이에 따라 OPEC 회원국들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나라들을 제재하기 위해 석유 무기화를 천명하며 원유 가격을 올렸다. 3개월 사이에 석유 가격이 배럴당 3.01달러에서 11.65달러로 387%나 급등했다. 또한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때까지 이스라엘 지지국에 대한 석유 금수를 결정했다.

1973년 11월 8일 키신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국왕을 접견했다. 이 자리에서 달러의 명운을 좌우할 거래가 은밀히 진행됐다. 미국이 사우디 안보와 왕실의 안전을 보장하는 대신 OPEC은 원유를 오로지 달러로만 판매하는 협상이었다.

추락하던 달러의 위상 회복시켜

‘화폐의 몰락’을 쓴 제임스 리카즈에 따르면, 이 협상을 위해 키신저가 사전에 검토한 또 다른 옵션이 사우디아라비아 침공이었다. 명분은 사우디 내 미국 자본 보호였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는 애초 미국 자본에서 출발했다. 1933년 미국 ‘스탠더드 오일 오브 캘리포니아’가 사우디 정부에서 석유 채굴 허가를 받아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자회사 ‘아라비안 아메리칸 오일 컴퍼니’의 약어가 아람코(ARAMCO)다.

미국은 금수 조치 해제를 위해 사우디와 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군사 전략도 준비한 것이다. 키신저는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보여주며 사우디 왕실을 압박해 1974년 6월 ‘군사 경제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는 사우디 산업과 군대 현대화 지원 등이 있지만 핵심 내용은 페트로 달러 체제 구축이었다. 이렇듯 페트로 달러 이면에는 당근과 협박으로 사우디가 도저히 거절할 수 없게 만든 키신저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의 외교 행적 곳곳에서 그랬다. 역사는 과연 키신저를 어떻게 평가할까?

[키신저의 힘은]

왕성한 호기심과 탐구욕… 100세에도 활발한 행보

헨리 키신저는 100세 고령에도 활발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지난 5월 18~21일 리스본에서 열린 빌더버그 회의에 참가했다. 이번 회의의 의제는 ‘AI, 은행 시스템, 중국, 에너지 전환, 러시아, 초국가적 위협, 우크라이나’ 등인데 그중 핵심은 ‘인공 지능’이었다고 한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올해 회의엔 총 23국에서 130명 인사가 참가했는데,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에릭 슈밋 전 구글 회장 등 인공 지능 관련 인사들도 참가했다. 키신저는 2021년 ‘인공 지능의 시대’라는 책을 에릭 슈밋 등과 함께 공저로 출간한 바 있다.

키신저는 이 회의 후 그의 100세 기념행사(5월 27일)를 위해 뉴욕, 런던을 거쳐 고향인 독일 퓌르트로 이동했다. 키신저는 지난해에도 ‘리더십’이라는 책을 출간했고 지금은 또 다른 책을 집필 중이라고 한다. 나이에 구애받지 않는 왕성한 호기심과 탐구욕이다. 특히 그는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과 중국의 갈등에 대해 잇따라 강한 경고 메시지를 던지며, 파국을 막기 위해서는 공존할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