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가계대출 175만 명 사실상 부도… 제2금융권 연체 위험수위
2023. 7. 3. 23: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계 빚을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도 이어가기 어려운 대출자가 300만 명에 육박했다.
통상 DSR이 70%이면 최저생계비를 뺀 모든 소득을 빚을 갚는 데 쏟아부어야 하는 마지노선으로 보는데, 이런 대출자가 299만 명이나 되는 것이다.
18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에 대한 경고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취약 가구의 줄도산 위기가 높아지면서 하반기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계 빚을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도 이어가기 어려운 대출자가 300만 명에 육박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3월 말 현재 가계대출을 받은 1977만 명의 연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DSR)을 분석한 결과다. 통상 DSR이 70%이면 최저생계비를 뺀 모든 소득을 빚을 갚는 데 쏟아부어야 하는 마지노선으로 보는데, 이런 대출자가 299만 명이나 되는 것이다.
특히 이 중 175만 명은 DSR이 100%를 넘어 소득보다 갚아야 할 빚이 더 많은 처지다. 전체 대출자 10명 중 거의 1명꼴로 원리금을 갚고 나면 남는 돈이 아예 없어 사실상 부도 상태라는 뜻이다. 이 같은 한계 대출자는 팬데믹 이후 2년 6개월 동안 꾸준히 늘고 있어 우려를 더한다. 18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에 대한 경고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취약 가구의 줄도산 위기가 높아지면서 하반기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계 수위에 다다른 가계 빚은 이미 금융권에 연쇄 충격을 주고 있다. 발등의 불이 떨어진 곳은 한계 대출자가 몰려 있는 제2금융권이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연체율은 6년 만에 5%를 넘어섰고, 취약계층이 급전을 빌리는 대부업체 연체율은 11%를 웃돌고 있다. 제2금융권 부실이 심화되면 제2의 카드 대란이나 저축은행 사태의 악몽이 재연될 수 있다.
더군다나 정부가 코로나19 지원 대책으로 각종 대출에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해준 조치도 9월이면 종료돼 잠재된 부실이 한꺼번에 폭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에선 9월 위기설까지 나도는 상황이다. 가계부채 통계에 잡히지 않지만 1058조 원으로 추산되는 전세보증금이나 1000조 원을 넘어선 자영업 대출까지 포함하면 가계 빚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는 것이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하반기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에 다시 속도를 내면 저신용·저소득층, 영세 자영업자, 2030세대 청년층에서 집단 파산이 속출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한 선제적이고 정교한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이 필요하다. 까다로운 조건 탓에 신청이 저조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손질하고, 일시적 자금난에 처한 가계가 도산하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 가계의 연쇄 부실로 금융과 경제 전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약한 고리들을 면밀히 점검해야 할 때다.
특히 이 중 175만 명은 DSR이 100%를 넘어 소득보다 갚아야 할 빚이 더 많은 처지다. 전체 대출자 10명 중 거의 1명꼴로 원리금을 갚고 나면 남는 돈이 아예 없어 사실상 부도 상태라는 뜻이다. 이 같은 한계 대출자는 팬데믹 이후 2년 6개월 동안 꾸준히 늘고 있어 우려를 더한다. 18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에 대한 경고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취약 가구의 줄도산 위기가 높아지면서 하반기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계 수위에 다다른 가계 빚은 이미 금융권에 연쇄 충격을 주고 있다. 발등의 불이 떨어진 곳은 한계 대출자가 몰려 있는 제2금융권이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연체율은 6년 만에 5%를 넘어섰고, 취약계층이 급전을 빌리는 대부업체 연체율은 11%를 웃돌고 있다. 제2금융권 부실이 심화되면 제2의 카드 대란이나 저축은행 사태의 악몽이 재연될 수 있다.
더군다나 정부가 코로나19 지원 대책으로 각종 대출에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해준 조치도 9월이면 종료돼 잠재된 부실이 한꺼번에 폭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에선 9월 위기설까지 나도는 상황이다. 가계부채 통계에 잡히지 않지만 1058조 원으로 추산되는 전세보증금이나 1000조 원을 넘어선 자영업 대출까지 포함하면 가계 빚 쓰나미가 몰려올 수 있는 것이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하반기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에 다시 속도를 내면 저신용·저소득층, 영세 자영업자, 2030세대 청년층에서 집단 파산이 속출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한 선제적이고 정교한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이 필요하다. 까다로운 조건 탓에 신청이 저조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손질하고, 일시적 자금난에 처한 가계가 도산하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 가계의 연쇄 부실로 금융과 경제 전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약한 고리들을 면밀히 점검해야 할 때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6세 절반 “사교육 3개 이상”… 영유아도 굴레
- “文정부 태양광 등 전력기금 8440억 부당집행”
- IAEA 보고서 오늘 日제출… 野 “日 맞춤형” 與 “공포 주술 멈춰라”
- 日오염수를 다루는 야당의 외교적 무지함[오늘과 내일/이정은]
- 현대차노조, 5년만에 총파업 가세… 경제6단체 “민노총 불법파업”
- 尹, 신임 차관들에 “우리는 反카르텔 정부… 가차없이 싸워달라”
- 본회의장에서 휴대전화는 왜 하나 [김지현의 정치언락]
- 한전, 퇴직자들 자회사와 27년간 수의계약… 전력기금 ‘펑펑’
- “80세 넘는 환자 입원 안돼요”… 통합병동, 경증환자만 골라 받아
- “1년치 약 미리 사두세요”… ‘과잉 비대면 처방’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