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의료, 국민은 '효과', 의료계는 '안전성'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 의료에 대해 일반 국민은 '효과'를, 의료계는 '안전성'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의료에 대한 우려를 묻는 질문에 일반 국민은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응답률이 48%로 가장 높았다.
의료계는 같은 질문에 안전성에 대한 검증 부족(39.3%)을 가장 많이 꼽았고 효과에 대한 근거 부족(33%),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14.7%)가 그 뒤를 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 의료에 대해 일반 국민은 '효과'를, 의료계는 '안전성'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일반 국민 1,000명, 산업계 329명, 의료계 224명 등 총 1,553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비대면 의료에 대한 우려를 묻는 질문에 일반 국민은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응답률이 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안전성에 대한 검증 부족(20.5%), 비용에 대한 부담(16.9%) 순이었다. 의료계는 같은 질문에 안전성에 대한 검증 부족(39.3%)을 가장 많이 꼽았고 효과에 대한 근거 부족(33%),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14.7%)가 그 뒤를 이었다.
일반 국민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답한 첨단 보건의료기술은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57.4%)이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기기(37.5%), 비대면 의료(14.5%), 유전자 검사(12.1%)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건강관리 앱에 대해서도 국민의 61.2%와 의료계의 62.1%가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국민은 개인 건강정보를 의료기관에 전송·활용할 수 있게 하는 '보건의료 마이데이터'에 대해서도 효과에 대한 근거 부족(27.6%)이 가장 우려스럽다고 답했다. 반면 의료계가 첫손에 꼽은 문제점은 사회·윤리적 문제(43.3%)로, 개인정보 유출 및 무분별한 활용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반적 신뢰 부족을 반영하듯이 첨단 보건의료기술 도입·활용은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계 응답자에게 활용 현황 및 계획에 대해 물었더니 31.7%는 '활용하고 있지 않으며 계획도 없다'고 답했다. 소폭이지만 전년(29%)에 비해 오히려 늘어난 수치다. '활용하고 있지 않으나 계획은 있다'는 응답은 40.6%로 전년(40%)과 비슷했다.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우자 출산휴가 썼더니 월급 감소... "이런 정책 세상 어딨나"
- ‘장미란 차관’…박지원 "선수가 왜 못해" vs 안민석 "스포츠 영웅들 정치적 소비"
- '정상에서 김밥은 커녕 줄행랑'...이번엔 북한산 습격한 러브버그떼
- 규현 누나 "동생 교통사고로 생명 위독…눈물로 빌었다" ('걸환장')
- 정주리, 벽간 소음 논란에 재차 사과 "오해 풀었다"
- 아무도 모르는 변사체 사망 시간, '구더기'는 알고 있다
- "애들 방학인데 어쩌나"...워터파크 떡볶이 1만5,000원, 풀빌라는 1박에 100만 원
- “옆집 나무가 태양광 시설 가려서…” 이웃 무참히 살해한 40대 징역 26년
- "그 자상했던 아버지가..." 걸핏하면 소리치고 막말
- 알바생이 테이블 닦다 기름 튀자 "명품백 구입비 700만원 달라"던 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