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오염수·챗GPT 파장에 균형잡힌 과학자 목소리 전달해야"

김민수 기자 2023. 7. 3. 10: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챗GPT 부상, 친원전·탈원전 논란 등 과학기술이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줄 정도로 사회적 파급효과가 커졌습니다. 하지만 과학기술 혁신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합리적 논의는 부족합니다. 균형잡힌 목소리를 정리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이른바 '사이언스미디어센터(SMC)'가 절실합니다."

조 이사장은 "과학자들이 과학기술로 생기는 사회적 갈등에 균형잡힌 목소리를 내야 하고 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미디어 역할도 중요하다"며 "남은 임기 동안 과학문화 창달이라는 미션을 갖는 창의재단이 이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SMC 구축체계를 마련하는 데 힘을 쏟고 싶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율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사이언스미디어센터 구축 필요"
조율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 챗GPT 부상, 친원전·탈원전 논란 등 과학기술이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줄 정도로 사회적 파급효과가 커졌습니다. 하지만 과학기술 혁신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합리적 논의는 부족합니다. 균형잡힌 목소리를 정리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이른바 ‘사이언스미디어센터(SMC)’가 절실합니다.”

지난달 23일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한국과학창의재단(이하 창의재단)에서 조율래 이사장(66)을 만났다. 2012년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을 지내기도 한 그는 2021년 1월 3년 임기의 제28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선임됐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기술문화 창달과 창의적 인재육성 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보통 공공 기관장은 취임 초 국민들에게 기관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인터뷰를 진행한다. 임기를 6개월여 남긴 조 이사장이 언론과 만난 것은 그만큼 이례적이다. 퇴임을 앞두고 절실하게 내고 싶은 메시지가 있어서다.

조 이사장은 “과학자들이 과학기술로 생기는 사회적 갈등에 균형잡힌 목소리를 내야 하고 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미디어 역할도 중요하다”며 “남은 임기 동안 과학문화 창달이라는 미션을 갖는 창의재단이 이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SMC 구축체계를 마련하는 데 힘을 쏟고 싶다”고 강조했다. 

SMC는 증거에 기반한 과학적 정보를 미디어를 통해 국민에게 전달하는 기구다. 과학자들과 국민을 미디어를 통해 잇는 가교 역할을 한다. 2002년 영국에서 가장 먼저 설립됐고 호주와 뉴질랜드, 독일, 대만, 스페인 등에서도 설립돼 글로벌 SMC 네트워크가 구축돼있다.

조율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조 이사장은 “최근 불거진 후쿠시마 오염수나 사용후핵연료 문제, 인공지능(AI) 기술 혁신 등 사회적 파급력이 큰 이슈를 둘러싸고 ‘가짜뉴스’나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하고 이는 정치적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도 이제 SMC 구축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SMC 구축 논의를 공론화하기 위해 국내 SMC 구축 방안 정책연구도 진행했다. 특히 이달 3일 영국, 뉴질랜드, 대만, 일본, 호주 SMC 관계자를 초청한 글로벌 SMC 네트워크 포럼을 연다. 

조 이사장은 “과학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합리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와 내용으로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전달해 궁극적으로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관심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 이사장은 한국에서도 SMC 활동이 본격화하면 과학자들과 언론·미디어가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이슈가 불거질 때 보다 균형잡히고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면서 사회 내에서 과학자들과 언론·미디어의 위상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SMC의 최종 수혜자는 궁극적으로 국민들이 될 것”이라며 “사회가 과학기술 관련 이슈를 받아들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고 불필요한 정치적·사회적 갈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수 기자 reborn@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