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 걸고 난민선 탔는데… 선내 구타·학대 “생지옥이었다” [세계는 지금]

이예림 2023. 7. 1. 15: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난민 두 번 울리는 브로커
밀항 대가 한 번에 653만~1000만 원 받아
돈에 눈먼 브로커 무리한 난민 승선 화근
6월 그리스 난민선 전복 ‘참사’ 키워
뇌물 안 주면 폭행… 음식물도 제공 안 해
내전·분쟁지 탈출 난민들 브로커 의존 커
인신매매·심각한 범죄의 희생양 되기도
유엔 “비극 재발과 브로커 전횡 막으려면
유럽 국가 이주민 수용 정규 채널 열어야”

“제 아이는 겨우 열여섯 살이었어요.”

사진 속 아들은 환하게 웃고 있었다.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 화면 위로 슬픔에 잠긴 레다 알 사예드의 모습이 비쳤다. 그의 아들 모하메드는 지난달 14일(현지시간) 그리스 앞바다에서 전복된 난민선에 탑승한 뒤 행방불명됐다.
수단·차드 국경지대에서 식량 배급을 기다리는 수단 피란민의 모습.
알 사예드는 지난달 22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모하메드는 더 나은 미래를 원했을 뿐”이라며 “아들 말고도 가족 7명이 난민선을 탄 뒤 돌아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모하메드가 살던 이집트는 화폐 가치 하락과 치솟는 물가로 국민 생활이 어렵다. 유엔난민기구(UNHCR)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6232명의 이집트인이 더 나은 삶을 찾아 배를 타고 이탈리아로 향했다.

삶의 터전을 찾아 나선 이들은 또 한 번의 죽을 고비를 겪어야 한다. 오갈 데 없는 난민에게 접근해 폭행과 협박을 일삼는 난민 브로커들 때문이다.
알 사예드는 “모하메드는 리비아 인근에서 난민 브로커를 만났다”며 “브로커들은 약 14만이집트파운드(약 590만원)를 지불하지 않으면 아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했다”고 말했다.

수백 명이 숨진 그리스 난민선 전복 사고 역시 브로커들이 사태를 키웠다고 외신들이 분석했다. 밀항을 도운 대가로 5000∼8000달러(약 653만∼1000만원)를 받는 브로커들이 이윤에 눈이 멀어 무리하게 난민들을 배에 태웠다는 것이다.

당시 배엔 750명 정도가 승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센트 코체텔 UNHCR 중앙 지중해 특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그 정도로 과밀한 배에서 정상적인 항해는 불가능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6월 14일(현지시간) 그리스 앞바다에서 난민선이 전복되기 전 모습으로 구조 작전을 기다리는 난민들이 배에 빼곡하게 탑승해 있다.
◆그리스 난민선에 올라탄 괴물

난민을 울린 건 배고픔도 추위도 아니었다. 최소한의 인권도 짓밟아 버린 난민 브로커. 이들 손에 난민은 또 한 번 지옥을 맛봤다.

영국 일간 타임스는 그리스 난민선 생존자들의 증언을 인용해 브로커들이 난민을 선내 냉장고에 가두고 폭행을 일삼았다고 보도했다.

한 생존자는 “(브로커들은) 돈을 내야만 음식을 줬다”며 “우리를 구타하고 학대했으며, 여성과 아이들을 갑판 아래 화물 칸에 가뒀고 냉장고에도 사람들을 가뒀다”고 주장했다.

AP통신도 대부분의 탑승자는 식음료를 제공받지 못했으며, 브로커에게 뇌물을 주지 않으면 선창에 남겨져 갑판에 올라가려 할 때마다 폭력을 당했다는 생존자 진술이 나왔다고 전했다.

배 밑바닥에는 100여명의 아이와 여성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돼 충격을 더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의 모습. 연합뉴스
유엔은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채 불법적 이주를 조장하는 이런 난민 브로커들을 인신 매매업자라고 부른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달 16일 성명을 통해 “그리스 난민 전복 사건은 인신매매하는 사람을 조사하고 그들이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알려 준다”며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으려면 유럽 국가들이 이주민들을 받아들이는 정규적인 채널을 열어 각 수용국 책임 분담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의 주요 활동 무대이자 전 세계 난민들이 가장 많이 향하는 지중해 중부 항해 길은 2014년 이후 2만여명의 사망·실종자가 나온 위험한 경로로 악명 높다.

그리스 이민부 소속 요르고스 미카일리디스는 BBC ‘월드 투나잇’과의 인터뷰에서 “현재로선 누가 유럽에 올 수 있는지 결정권이 브로커들에 있다”며 “브로커들에게 돈을 낼 능력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정말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받아들이기 위해 확실한 이민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어린 난민들도 팔려 갔다

아프리카, 중동, 북한 등 내전과 극심한 경제난을 피해 도망친 이들이 가는 길엔 항상 인신매매의 위험이 도사린다. UNHCR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난민들이 인신매매 업자들의 표적이 되기 쉽다고 강조한다.

UNHCR은 난민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분쟁, 폭력, 박해를 피해 탈출한 대부분 난민은 안전을 위해 불규칙한 이동을 할 수밖에 없다”며 “이 과정에서 브로커들에게 의존하게 되는데, 불안정한 난민들을 이용하는 일부 브로커들에 의해 인신매매나 심각한 범죄 및 인권 침해의 희생양이 되기 쉽다”고 설명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들도 인신매매 업자들의 주요 표적이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유엔은 지난 4월 인신매매 업자들이 우크라이나에서 탈출하는 여성들을 이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금까지 약 500만명이 우크라이나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난민의 날인 지난 6월 20일(현지시간) 파키스탄 난민 캠프에서 한 소녀가 뒤를 돌아보고 있다.
WP는 지난 3월 스웨덴에서 성매매 알선 혐의로 체포된 38명의 남성 중 30명이 우크라이나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질렀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전쟁 이후 유럽으로 흩어진 우크라이나 여성들이 성범죄에 노출되기 쉽다고 설명했다.

어린 난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신매매도 활발했다. UN이 지난해 6월 배포한 언론 자료에 따르면 아프리카 말라위에 있는 잘레카 난민 캠프에서 90명 이상의 인신매매 피해자가 구조됐는데, 이 중에는 수십 명의 에티오피아,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DRC) 출신 소녀들도 있었다.

DRC에서 온 16세 소녀는 “분쟁으로 고국을 떠난 후 2009년 난민 캠프에 도착했다”며 “이곳에서 나에게 접근해 온 인신 매매업자에 의해 성매매하게 됐는데, 한 번은 성관계를 거부해 고객에게 구타당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예림 기자 yea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