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기억] 펑 소리와 함께 부풀던 동심

2023. 7. 1. 00: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뻥튀기, 전북 고창, 1972년, ⓒ김녕만
뻥튀기 기계를 둘러싼 아이들은 희망고문이 될지라도 자리를 뜰 줄 모른다. 고막이 터질 듯한 ‘펑~’ 소리에 눈을 질끈 감고 귀를 막으면서도 한순간 마술처럼 피어오르는 연기와 온 몸으로 스며드는 고소한 냄새, 하얗게 쏟아져 나오는 튀밥에 홀려 마냥 황홀하다. 주전부리가 턱없이 부족하던 그 시절에 아이들은 모두 요술방망이 같은 뻥튀기 기계를 꿈꾸지 않았을까? ‘뻥튀기처럼 모든 먹을거리가 열 배로 불어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오일장이 서면 시장 한쪽에 뻥튀기 아저씨가 어김없이 찾아와 자리를 잡았다. 아이들은 엄마보다 할머니를 공략하는 게 더 쉽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졸라대는 손주에게 못 이기는 체 할머니가 큰맘 먹고 쌀 한 됫박 퍼내면 그 기쁨을 무엇과 바꿀 수 있으랴. 날아갈 듯 달려가 차례를 기다리면서 가슴이 먼저 부풀 대로 부풀어 올랐다. 드디어 차례가 오고 아저씨가 익숙한 손놀림으로 쌀을 넣고 튀길 준비를 마친 뒤 쉭쉭거리는 소리가 절정으로 치달을 때 폭발의 순간을 기다리던 짜릿함! 쌀 한 됫박이 튀밥 한 말이 되는 마술에 행복했다.

물론 장날마다 그런 행운을 누릴 수는 없어도 아이들은 무시로 뻥튀기 아저씨 곁을 맴돌았다. 축포처럼 펑펑 터지는 소리와 고소한 튀밥 냄새만으로도 행복의 반은 채워지는 느낌 때문이었다. 그때 스물셋의 청년이었던 어설픈 사진가 지망생인 나도 이 아이들처럼 늘 뭔가 허기진 꿈을 꾸고 있었다. 이 카메라도 뻥튀기 기계처럼 훗날 시골 청년의 쌀 한 톨 만한 꿈을 열 배 백 배 확대시켜 줄 수 있을까? 그 다음해에 나는 상경하여 늦깎이 사진과 학생이 되었다.

이 사진을 찍은 1972년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이 340달러였는데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2021년에는 3만4980달러가 되었다. 거짓말처럼 100배 이상 부푼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50년 전 튀밥 한 자루의 행복은 몇 곱절 커졌을까. 그 행복지수가 궁금해진다.

김녕만 사진가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