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거칠 것 없는 초원의 바람처럼

2023. 6. 30. 22: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호하게만 살다 간 내 아버지
그 삶이 핏줄 통해 유전되었다
세계와 소통이 요즘 나의 고민
부모 넘어서는 자식 되려 노력

언젠가 공선옥 선배에게 전화를 걸었다. 나라는 것을 확인하자마자 공 선배, “이, 이번에는 또 먼 일인가?” 다짜고짜 물었다. 사실 용무가 있었으나 단도직입적인 선배의 질문에 머쓱해서 얼버무렸다. “일 없으면 전화도 못 하나요 뭐.” “이, 자네는 일 없으먼 전화 안 해. 영 쌀쌀맞잖애.”

우리 아버지, 일 없이는 절대 전화하는 법 없었다. 전화를 해도 용무만 간단히, 1분을 넘기지 않았다. 오랜만에 집에 내려가면 아버지는 늘 골목 어귀에서 담배를 태우며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나를 발견한 순간 아버지는 말 없이 돌아섰다. 왔냐, 는 간단한 인사 한마디 없이. 아버지를 닮고 싶지 않았다. 그리운 이를 만나면 차마 말도 못하고 하염없이 손만 만지작거리는 살가운 사람이고 싶었다. 그런데 자네 영 쌀쌀맞잖애, 공 선배의 한마디가 나의 현주소다. 영락없이 울 아버지 딸이다.
정지아 소설가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아버지다. 알 사람 다 아는 아버지의 사상적 전력을 일컫는 게 아니다. 부모님의 빨치산 전력으로 인해 태생적으로 역사성을 부여받았으나 그것만이 내 문학적 토양인 것도 아니다. 아버지의 영향은 더 두루 널리 퍼져 있다. 아이를 키우면서 핏줄이란 게 얼마나 무서운가를 새삼 깨달은 바 있다. 생각 이상의 영역까지 핏줄로 유전된다는 사실도.

내가 아버지 닮아 독립적이고 단단한 사람이라는 것을 최초로 느낀 것은 다섯 살 때였다. 그때 부모님은 집에서 5백여m 떨어진 잠실에서 먹성 좋은 누에를 거둬 먹이느라 밤이면 늘 집을 비웠다. 하필 요의를 느껴 잠이 깼고, 깨어 보니 나 혼자였다. 겁 없이 밖으로 나왔더니 칠흑 같은 어둠 속으로 장대비가 퍼붓고 있었다. 마당으로 내려서서 두어 걸음 옮긴 순간 나는 방향을 잃었다. 마을로 내려가는 길 외에는 삼 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집이었다. 오밤중 빗속에서 길을 잃으면 위험하다는 본능이 나를 긴장시켰다. 어둠 속에서 나는 손을 내밀었다. 손바닥이 따갑도록 퍼붓는 비와 함께 농밀한 어둠이 느껴졌다. 몇 걸음 내디뎠으나 팔을 내뻗은 것만으로는 방향이 감지되지 않았다. 발바닥의 감촉조차 믿을 수 없다는 것을 그때 알았다. 내 발바닥은 길의 경사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나는 땅바닥에 납작 엎드렸다. 그리고 온몸의 느낌으로 내리막길을 찾았다. 잠실의 희미한 불빛을 발견하기까지 얼마나 걸렸을까? 그건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네 발에 온몸의 감각을 집중하여 어둠을 뚫고 전진하던 그 생생한 느낌만 아직도 생생하다. 고작 다섯 살이었지만, 그때 나는 나 홀로 세계와 대면하고 있었다. 그 순간을 돌이키면 아직도 짜릿하다.

몇 해 전 몽골에서 나는 오래전 그 장대비 퍼붓던 밤의 설렘을 또다시 경험했다. 막막한 초원에 섰을 때 바람처럼 거칠 것 없이 초원을 휩쓸며 살고 싶다는 생각으로 가슴이 설렜고, 동시에 1000만 이상의 인간이 어깨를 부딪고 살아가는 저 자본의 세계에서 이름 없는 부품으로 살아가야 할 숱한 나날들이 체증처럼 가슴에 얹혔다. 그러한 세계가 요구하는, 그 세계에서 질식하지 않고 버텨 낼 자잘한 위안 같은 것을 나는 잘 알지 못한다. 이렇다 할 잡기도 없다. 정면돌파가 나의 특기고 취미다. 그러나 이 거대한 괴물 같은 세계를 어떻게 정면돌파할 것인가. 어떻게 이 세계와 소통할 것인가. 이게 요즈음의 내 고민이다. 단호함으로 망설임을, 거시로 미시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할까? 불안할 따름이다.

아버지는 죽는 날까지 거시의 세계를 살다 갔다. 단호하게 살다 단호하게 갔다. 내 손 한 번 따스히 잡아본 적 없는, 사랑하는 여자와 알콩달콩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가슴 설레 본 적 없는 아버지의 삶이, 아버지의 몸피처럼 강퍅한 아버지의 삶이 애처롭다가, 가만 보니 그것은 아버지의 것만이 아닌 내 것이기도 하여, 심장이 서늘해진다. 부모를 넘어서는 자식, 그것이 모든 부모의 로망일 터, 노력은 해 보겠다고, 아버지 묻힌 백운산 한재 잣나무 앞에서 매번 마음을 다잡기는, 그러기는, 그러고 있다.

정지아 소설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