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 사이에만 '228mm 비'…유독 영주에 쏟아진 이유

서동균 기자 2023. 6. 30.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렇게 피해가 컸던 경북 영주에는 지난 밤사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200mm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

밤사이 경북 영주시에는 228mm의 비가 집중됐습니다.

이렇게 경북 영주에 유독 비가 집중된 것은 기온과 습도, 지형 등 여러 악조건이 겹쳐서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피해가 컸던 경북 영주에는 지난 밤사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200mm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

유독 영주에 비가 집중된 이유가 무엇인지 서동균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기자>

밤사이 경북 영주시에는 228mm의 비가 집중됐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많았는데, 2번째로 많이 온 경북 영양군 135mm와 차이가 큽니다.

기상청 자동 관측 장비 637곳 중 100mm 이상 기록된 것이 불과 7곳이었습니다.

이렇게 경북 영주에 유독 비가 집중된 것은 기온과 습도, 지형 등 여러 악조건이 겹쳐서입니다.

대기 중에 수증기가 얼마나 많은지를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산사태 직전인 새벽 3시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통상 수치가 40을 넘으면 폭우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

그런데 오늘(30일) 새벽에는 정체전선이 남부에 걸치면서 경북을 포함한 남부의 수치가 60을 넘어섰습니다.

수증기만 많다고 꼭 폭우가 쏟아지는 것은 아니죠.

이 자료는 대기가 비를 뿌리지 않고 수증기를 보관할 수 있는 여력을 색깔로 표현한 것입니다.

여력이 큰 노란색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녹색으로 가면 여력이 줄어드니까 대기가 더 버티지를 못하고 비를 뿌리게 되는 식인데, 경북 북부가 딱 그 경계였습니다.

지형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경북 영주는 분지 지형으로 작은 동산들과 산지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동산들의 골짜기 사이로 따뜻한 수증기가 빠르게 유입이 되면서 비구름이 발달했고, 또 이 뒤쪽에 있는 산은 이미 만들어진 비구름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역할을 했습니다.

사고가 난 지역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대부분 산지 바로 아래쪽입니다. 산사태에 그만큼 취약했던 것이죠.

남부 지역에는 내일까지 계속 비가 옵니다.

제주도 산지 많은 곳에 80mm 이상, 경북과 제주도 20~60mm, 경남 남해안 60mm 이상, 수도권을 제외한 그 밖의 전국에 5~30mm가 예보됐습니다.

비가 잦아든 수도권에는 고온다습한 날씨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지는 등 피해 대비는 물론 건강 관리에도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CG : 서동민·엄소민)

▷ 지난해 정확히 들어맞았던 침수위험지도…"여기도 위험"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250447 ]
▷ "돌잔치 같이 했는데"…산사태로 매몰 14개월 여아 사망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250445 ]

서동균 기자 windy@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