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뚝심 경영’으로 2030년 매출 50조 목표 [2023 100대 CEO]

2023. 6. 30. 0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76년 호남석유화학으로 출발한 롯데케미칼은 국내외 생산 기지를 통해 석유 화학 산업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을 연간 450만 톤 생산하는 글로벌 화학 기업이다.

한국 3대 석유화학단지인 여수·대산·울산 지역에 대규모 생산 시설을 운영 중인 한국 유일의 화학사로, 지속적인 공장 증설과 사업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 100대 CEO]

1957년생. 대구 경신고. 중앙대 화학공학과. 2017년 롯데케미칼(주) LC TITAN대표이사 (사장). 2017년 롯데케미칼(주) 대표이사 사장. 2019년 롯데그룹 화학BU장. 2021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대표 겸 롯데케미칼(주) 대표이사 부회장.


1976년 호남석유화학으로 출발한 롯데케미칼은 국내외 생산 기지를 통해 석유 화학 산업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을 연간 450만 톤 생산하는 글로벌 화학 기업이다. 한국 3대 석유화학단지인 여수·대산·울산 지역에 대규모 생산 시설을 운영 중인 한국 유일의 화학사로, 지속적인 공장 증설과 사업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인수·합병(M&A)과 신규 사업을 통해 국내외 생산 기지 다변화를 꾸준히 추진해 왔다. 2010년 타이탄케미칼을 인수해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했다. 2015년에는 우즈베키스탄 가스전 프로젝트를 완공해 중앙아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에 신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2015년 10월 한국 화학 산업 최대 빅딜이고 롯데그룹 창립 이후 최대 규모의 M&A를 성사시키면서 이목을 끌었다. 삼성그룹 화학 계열사를 약 3조원에 인수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과 동시에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정밀 화학 분야에 진출함으로써 종합 화학사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이다.

2019년에는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 운영하는 최초의 대한민국 화학사가 됐다. 미국 웨스트레이크(Westlake)와 총사업비 31억 달러 규모의 합작 사업을 추진, 루이지애나 주 레이크찰스에 에틸렌 100만 톤을 생산하는 대형 석유화학단지를 완공했다. 기존 석유 화학 제품의 원료인 나프타 대신 셰일가스 기반의 에탄을 활용함으로써 유가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미주 시장 확대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은 1984년 입사 이후 회사의 성장과 번영의 순간을 함께해 온 롯데케미칼 역사의 산증인이다. 중앙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여수공장에서 엔지니어 실무를 시작해 폴리프로필렌(PP) 프로젝트, BTX 공장 증설, 폴리에틸렌 증설 등 여러 사업을 수행하며 석유 화학 산업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풍부한 실무 경험을 축적했다.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글로벌 신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그룹 내 석유 화학 사업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년 12월부터 롯데그룹 화학군을 총괄하며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체질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풍부한 현장 경험과 국내외 신규 사업을 통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롯데케미칼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5월 선도적인 기술로 풍요롭고 푸른 세상을 향해 나간다는 목표를 담은 새로운 기업 비전·슬로건 ‘푸른 세상을 향한 앞선 발걸음(Every Step for GREEN)’을 선보였다. 나아가 2030년까지 재무적 목표로 매출 50조원 달성, 비재무적 목표로 탄소 감축 성장을 내용으로 하는 2030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범용 석화 사업의 경우 지역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을 확대하고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은 기존 스페셜티 제품군 확대와 범용 사업 제품의 고부가화 그리고 바이오 소부장·친환경 소재 등의 신규 사업군에 진출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 에너지 사업, 전지 소재 사업, 리사이클 분야에 투자해 성장시킬 계획이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