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 업황, 바닥 지났다"

황정수/최예린 2023. 6. 29. 18: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마이크론 CEO 진단
AI 열풍에 고용량 수요 증가
감산 따른 공급과잉 해소도
'재고 부담 여전' 신중론도

세계 2위 D램 업체 미국 마이크론의 산제이 메로트라 최고경영자(CEO)가 28일(현지시간) “메모리반도체 산업이 바닥을 지났다”고 말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고용량 D램 수요 확대, 주요 반도체 기업 감산 등의 영향으로 업황이 최악 국면을 벗어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마이크론은 이날 열린 2023회계연도 3분기(2023년 3~5월) 실적설명회에서 매출 37억5000만달러, 주당 순손실 1.43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매출 36억5000만달러, 주당 순손실 1.59달러보다 긍정적인 수치다.

마이크론의 실적 전망도 기대 이상이었다. 4분기(6~8월) 매출이 37억~41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평균은 39억달러로 컨센서스인 38억9000만달러를 웃돈다.

마이크론의 자신감은 기업들의 적극적인 감산으로 공급 과잉이 해소되고 있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메로트라 CEO는 실적설명회에서 “감산 비율이 30%에 달할 정도로 현재 재고 관리와 공급량 조절에 집중하고 있다”며 “업계 공급과 수요가 점차 균형을 잡아가면서 마진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살아나고 있는 점도 업황 바닥 탈피 전망의 근거로 꼽았다. 마이크론은 실적설명 자료를 통해 “전통적 서버 수요는 부진했으나 AI용 서버의 메모리 수요가 업계 예상보다 컸다”며 “D램 내 DDR5 출하량 비중도 전분기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고 했다. 주요 고객사인 전자제품 제조업체가 반도체 재고를 소진하고 있다는 점도 업황 반등 기대를 높이는 요인이다.

마이크론의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업계에서는 신중론이 여전하다. 경기 둔화에 따른 스마트폰·PC 판매 부진, 삼성전자 등 주요 업체가 쌓아둔 총 60조원 규모의 DDR4 메모리반도체 재고 등이 업황 회복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D램 'AI용 서버 붐'…업황 반등 신호탄 되나

올초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세계적인 관심을 끌 때도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같은 고용량 D램이 간혹 사람들의 입에 올랐지만 ‘전체의 5% 남짓한 작은 시장’으로 치부하는 투자자가 많았다. 최근엔 분위기가 달라졌다. 생성형 AI 인기에 올라탄 메모리반도체 기업의 실적 개선이 눈으로 확인되고 있어서다. 반도체업계에선 생성형 AI 붐이 메모리 업황 반등의 트리거가 될 것이란 낙관론도 나온다.

 AI 서버용 메모리 수요 커져


미국 마이크론이 28일(현지시간) 2023회계연도 3분기(2023년 3~5월) 실적 설명회에서 투자자의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공개했다. 주요 원인으로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메모리반도체 수요 증가가 꼽혔다.

마이크론은 실적 설명 자료에 “AI용 서버의 메모리 수요가 업계 예상보다 컸다”고 적었다. ‘생성형 AI 인기→구글 등 대형 테크기업의 AI 서버 투자→서버에 들어가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 증가→GPU를 돕는 고용량 D램 주문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실적을 끌어올렸다는 얘기다.

 가격보다 다섯 배 비싼 HBM

생성형 AI용 서버에 주로 활용되는 D램은 HBM이다.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이다. 서버에서 GPU 또는 중앙처리장치(CPU)와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다. 가격은 일반 D램의 ‘다섯 배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요도 계속 커질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전 세계 HBM 수요가 전년 대비 60% 가까이 급증하고, 내년에는 30% 더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HBM 시장의 90% 이상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한국 메모리반도체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올해 전체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수준으로 예상된다”며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BM뿐만 아니라 신형 규격인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D램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DDR5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CPU ‘사파이어래피즈’를 인텔이 올초 출시한 영향이다. 최근 사파이어래피즈를 채택한 델, HP 등 서버 기업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DDR5 주문도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올 2분기 13% 수준으로 전망되는 DDR5 채택 비율(서버용 기준)이 4분기엔 48%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DDR5 D램은 기존 제품 대비 가격이 15% 이상 비싸다. DDR5 적용 비율이 올라갈수록 D램 업체 실적에 긍정적이다. 이 밖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감산을 통해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는 것도 메모리반도체 업황 개선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업황 회복 ‘시기상조’ 반론 나와

업황 긍정론이 ‘시기상조’란 지적도 만만치 않다. DDR4 재고 부담의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재고 자산 합계는 약 60조원에 달한다. 시장의 중심이 DDR5로 넘어가고 있어 기업으로선 DDR4 D램의 ‘땡처리’가 불가피하다. 증권사들이 메모리반도체 기업의 분기 기준 ‘흑자전환’ 시기를 내년 이후로 보는 것도 높은 재고 수준 때문이다. 한 국내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최근 임원 회의에서도 ‘업황 회복’에 대한 얘기는 거의 없었다”며 “마이크론이 얘기한 낙관론은 다소 과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황정수/최예린 기자 hjs@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