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토염, 경북도 무형문화재 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도가 29일 영덕 토염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했다.
토염은 삼국시대부터 갯벌의 흙과 솥을 이용해 만든 전통소금이다.
경북도는 이와 관련된 기술과 전통지식, 소금 생산과 관련된 공동체 문화 등을 감안해 도내 처음으로 공동체 종목 무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영덕 토염은 동해안 갯벌의 흙을 이용해 염전을 만들고 햇볕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염분 함수율을 올린 후 솥에서 끓여 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동=뉴시스] 류상현 기자 = 경북도가 29일 영덕 토염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했다.
토염은 삼국시대부터 갯벌의 흙과 솥을 이용해 만든 전통소금이다. 경북도는 이와 관련된 기술과 전통지식, 소금 생산과 관련된 공동체 문화 등을 감안해 도내 처음으로 공동체 종목 무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영덕 토염은 동해안 갯벌의 흙을 이용해 염전을 만들고 햇볕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염분 함수율을 올린 후 솥에서 끓여 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갯벌의 흙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무기질을 소금에 담아 낼 수 있고, 바닷물을 바로 솥에서 끓이는 것에 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 영덕의 소금 생산 지역은 남정면, 영덕읍, 축산면, 병곡면 등이며 병곡면과 남정면을 중심으로 1950년대까지 이어졌으나 6.25전쟁과 천일염의 대중화, 공장제 소금 등의 보급으로 명맥이 끊어졌다.
그러나 최근 학술조사연구와 당시 제염에 직접 참여했던 마을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토염 생산방식이 복원됐다.
영덕 토염은 동해안 어물과 함께 경북의 내륙 지역까지 유입됐다.
행상이 토염을 사 영해에서는 육로로 창수재를, 영덕에서는 황장재를 넘어 안동으로 들어왔고 다시 예안·의성·청송·영양 등으로 공급됐다.
경북도는 "유통경로의 문화적인 측면과 소금 생산과정, 영덕 지역민들의 공동체문화 등에서 소중한 문화자산으로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토염은 동해안 지역에서 일부 공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과 함께 문화재청이 이미 지정한 제염(2018, 공동체 종목)과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아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됐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앞으로도 지역 내 세대를 거쳐 꾸준히 전승되고 있는 공동체 종목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정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pring@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진 찍으려고 줄섰다"…송혜교 닮은 꼴 中 여성 조종사 미모 보니
- "공개연애만 5번" 이동건, '의자왕'이라 불리는 이유
- 김정민, 月보험료 600만원 "보험 30개 가입"
- 가격 1000원 올린 후…손님이 남긴 휴지에 적힌 글
- 대부업자와 사채업자는 뭐가 다른가요[금알못]
- 이효리, 스타킹만 신고 과감한 팬츠리스 룩
- 민경훈♥신기은 PD, 결혼식 현장 공개…'아는 형님' 단체 축가
- 송승헌, 신사역 스타벅스 건물주에 이어…최소 678억 시세차익
- '박연수와 양육비 갈등' 송종국, 캐나다 이민? "영주권 나왔다"
- '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딸 최초 공개…"난 행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