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다룬 장편 '제주도우다' 출간…"원혼들 명령으로 써"(종합)

김용래 2023. 6. 29. 16: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로작가 현기영, 4년 매달린 끝에 완성…전 3권 출간
"3만 원혼에게 바치는 공물…이젠 나무와 자연 얘기 써보고파"
'제주도우다' 출간한 현기영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소설가 현기영이 29일 서울 마포구 창교서교빌딩에서 열린 장편소설 '제주도우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6.29 jin90@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이 작품은 4·3 영령들이 제게 명령해서 쓴 거라고 할 수 있어요. 4·3의 3만 원혼에게 바치는 공물을 한번 제대로 만들어봐야겠다 하는 결심으로 썼습니다. 이제 4·3 얘기는 그만 써야죠."

제주 출신의 원로작가 현기영(83)은 제주와 한반도 현대사의 뿌리를 다룬 신작 장편 '제주도우다'(창비)를 4·3 원혼들의 명령으로 썼다고 말했다.

작가가 꼬박 4년을 매달려 완성한 세 권짜리 역사소설 '제주도우다'는 일제강점기부터 4·3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근현대사를 4·3의 비극으로부터 살아남은 '안창세'의 목소리로 젊은 세대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다.

현기영 작가는 29일 서울 마포구 창비서교빌딩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4·3에 천착하게 된 계기로 '순이 삼촌'(1978)을 발표하고서 군사정권 보안사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고 투옥된 뒤 꾼 악몽 얘기를 들려줬다.

"'순이 삼촌' 등 (4·3에 관한) 중단편 세 편을 썼고 이거면 이제 됐다 싶었는데, 누군가에게 고문당하는 똑같은 꿈을 두 번이나 꿨어요. 보안사에서 당했을 때와 똑같이 말이죠. 그런데 나를 고문하는 주체가 누구냐 하면 4·3 영령이에요. '네가 뭘 했다고 4·3에서 벗어나려 하느냐'면서. 그때부터 4 ·3을 제 일생의 화두로 삼게 됐습니다."

'제주도우다'는 태평양전쟁 발발 후 일제의 압박이 극에 달하던 1943년부터 4·3 사건이 일어나고 대토벌이 이뤄진 1948년 겨울까지가 주요 배경이다. 역사적으로 육지의 지배권력에 거세게 맞서 역향(逆鄕)이라는 별칭을 얻은 제주의 해변마을 조천리를 공간적 배경으로 작가는 11세 소년 안창세가 16세가 되는 5년 동안 제주에 불어닥친 광풍과 격변의 현대사를 직시한다. 현기영은 특유의 힘 있는 서사와 생동감 넘치는 인물들을 통해 새 나라 건설의 꿈에 벅찼던 해방공간 제주 젊은이들의 열망과 좌절을 섬세하게 그리고, 국가의 폭력에 내몰려 희생당한 원혼들을 위로한다.

[창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극심한 이념 투쟁과 무장봉기와 대토벌, 무고한 양민 학살 등 현대사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다루면서도 작가는 의식적으로 참혹함을 덜어내려고 로맨스도 넣고 낭만적 감성도 집어넣었다고 설명했다.

"4·3은 대수난이고 대참사죠. 너무 참혹해서 그대로 묘사할 수가 없어요. 그런 점을 완화하려고 젊은이들의 열정과 연애, 사랑 얘기도 넣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괴로운 주제라 경쾌한 소설 좋아하는 분들은 읽기 힘들 거예요. 바람이 있다면 제가 고심해서 탐구하듯 쓴 이 작품을 독자들도 천천히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젊은이들의 열정과 로맨스 얘기에 더해 제주의 땅과 바다, 민중에 대한 애정 어린 묘사, 군데군데 인용한 제주의 전설과 설화, 무당의 넋두리, 유행가와 저항가 가사 등이 소설을 풍요롭게 만든다. 한 주제를 놓고 오랜 시간 고민하고 대결해온 노 작가의 묵직한 공력이 느껴지는 대작이다.

제목 '제주도우다'는 38선이 그어지고 일본에서 귀향민이 들어올 때 미군정이 '남과 북 중 어디로 가겠느냐'고 물었을 때 제주인들이 '남도 북도 아닌 제주도로 가겠다'고 한 것에서 따왔다. '제주도우다'는 제주 방언으로 '제주도입니다'라는 뜻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들이 4·3 등 현대사의 진상에 더 관심을 기울여달라는 당부도 했다.

"4·3은 해방공간의 정치·경제적 모순이 집약돼 나타난 사건인데, 당시 사람들이 어떤 생각이었는지, 시대정신은 뭐 였는지 등을 지금 간과하고 있어요. 소설을 통해서도 역사의 진상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문학은 (당시 희생된) 3만명을 통계가 아닌, 3만개의 개별적 삶으로 보는 거예요. 그들에게 뼈와 살, 한숨과 눈물을 부여해서 진상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지요."

작가는 앞으로는 4·3에 대한 얘기 말고 나무, 초목, 대자연에 관한 이야기들을 써보고 싶다고 한다.

"이번에 4·3의 3만 영령들에게 공물을 만들어 바쳤고, 할 일을 다 한 것 같습니다. 대신 나무와 대자연에 관한 글을 써볼까 합니다. 도시에서 시멘트로 둘러싸여 회색 공간에 살다 보니 인간이 자연의 소산임을 잊고 있잖아요. 자연 속의 인간…그런 작품을 구상 중입니다."

창비. 각 권 360~380쪽.

현기영 장편소설 '제주도 우다' 출간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소설가 현기영이 29일 서울 마포구 창교서교빌딩에서 열린 장편소설 '제주도우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6.29 jin90@yna.co.kr

yonglae@yna.co.kr

fusionjc@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