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그날, 방아쇠 잡은채 산화한 영웅들…제2 연평해전[뉴스속오늘]

김성휘 기자 2023. 6. 29. 15: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2년 6월29일 서해 NLL 인근 교전, 6명 전사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서울=뉴스1) = 3월21일 서해상에서 실시한 해군2함대 해상기동훈련에서 을지문덕함(앞에서부터), 서울함, 공주함, 박동혁함이 제2연평해전 교전 시각인 오전 10시 25분경에 맞춰 함포사격을 하고 있다. (해군 제공) 2023.3.2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연평도 부근 해역. 남북 해군 경비정 사이에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 2척의 북한 경비정이 NLL을 남쪽으로 침범, 우리 측은 이들을 쫓아내기 시작했는데 순간 가까워진 북한 측이 사격을 시작한 것이다.

20여분간 벌어진 전투로 우리 해군 참수리 편대 357호정에서 정장(함장) 윤영하 소령(당시 대위)을 비롯, 6명 장병이 희생됐다. 북한 함정은 30여명의 사상자가 나온 가운데 화염에 휩싸인 채 퇴각했다.

1999년 6월 벌어진 첫 연평해전에 이어 이것을 제2 연평해전이라 한다.

월드컵 그날, 北 함정 남하…돌발 사격
군에 따르면 29일 오전 9시46분경 2척의 북한 경비정 등산곶 684호, 388호가 남하하기 시작했다. 오전 10시 이들이 NLL을 침범하자 우리 해군 '참수리 편대'는 교전수칙대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편대별로 북한경비정 1척씩을 맡아 이들을 쫓아내는 작전이다.

북한 684호를 맡은 해군 232편대에서는 기함인 358정(정장 최영순 대위)이 선두를 맡고 357정(정장 윤영하 대위)은 뒤를 따랐다. 그런데 북한 경비정은 우리측 358정을 지나치며 갑자기 속도를 줄였다. 뒤따르던 357정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방향을 틀었고, 이에 357정의 좌현이 북한 684호에게 노출됐다.

10시 25분, 북한 684호가 경고 사격도 없이 전차포를 참수리 357호정에 쏘기 시작했다. 윤영하 소령은 즉각 대응사격 명령을 내리고 반격에 나섰다. 우리측 인근 고속정과 경비중인 초계함 등이 대응사격에 가담했다.

교전이 격화하던 중 북한 포가 함교에 명중, 357정 함상이 혼란한 가운데 윤 소령이 북한 저격수 총탄에 맞고 말았다. 윤 소령이 갑판에 쓰러져 전사하자 부장인 이희완 중위(현재 대령)가 대신 지휘권을 행사하며 장병들을 독려했다.
(서울=뉴스1) =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을 앞두고 지난 27일부터 서해에서 열린 해상기동훈련에 참가한 유도탄고속함(PKG) 황도현함 부장 최경철 대위가 전방의 표적을 확인하고 있다. 오는 29일까지 열리는 이번 해상기동훈련에는 서울함을 비롯한 호위함 및 유도탄고속함(PKG) 등 함정 10여 척이 참가했다. (해군 제공) 2023.6.2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몸이 부서져도 총 쥔 채…6명 전사·19명 부상
계속된 교전에 우리 측 피해도 점점 늘어났다. 357정은 엔진이 정지되고 전력계통이 망가지며 위기에 빠진다. 이런 가운데서도 장병들은 필사적인 대응을 계속한다. 비상전력을 켜는 등 어떻게든 포를 발사하려 한 것이다.

조타실이 피격되면서 조타장 한상국 상사(당시 중사)가 전사했다. 발칸 담당 황도현 중사(당시 하사)는 북한 포탄에 머리를 맞고 전사했다. 발칸포 방아쇠를 그대로 손에 쥔 채였다.

전신화상을 입은 조천형 상사(당시 하사)도 방아쇠를 놓지 못한 채 전사했다. 기관총으로 대응하던 서후원 중사(당시 하사)는 교전중 총격을 당해 전사한다.

의무병인 박동혁 상병(병장으로 추서)은 자신도 총상을 입은 가운데 승조원 구호를 위해 분투했다. 이때 서 중사가 쓰러지자 자신이 기관총을 잡고 사격에 나섰으나 북한군 사격에 중상을 입고 만다.

우리측 반격에 북한 684호는 포탑들이 일찌감치 파괴돼 전투력을 잃었다. 또 조타기능이 망가지며 운항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다. 이에 북한의 다른 경비정에 예인되면서 퇴각했다.

2002 한일 월드컵 한국과 터키의 3·4위전 경기가 열리던 날이었다.

(서울=뉴스1) = 해군은 제2연평해전 전사자 고 조천형 상사의 딸 조시은 씨가 해군 간부가 되기 위해 부경대 해군 학군사관후보생(NROTC)이 됐다고 10일 밝혔다. 부경대에서 2년간의 학군단 교육을 마치고, 이후 해군 장교교육대대에서 10주간의 입영교육을 수료하게 되면 2025년 3월 해군 소위로 임관하게 된다. 조 씨가 부경대 해군 학군사관후보생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있다. (해군 제공) 2023.2.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투력 증강…신형 고속함 1호는 '윤영하함'
박 상병은 이후 국군병원에 옮겨졌으나 80여일 투병 끝에 숨졌다. 6번째 전사자이자 이 교전에 유일한 사병 전사자였다.

이철규 중사, 황창규 중사, 권기형 상병 등 부상자 19명도 함께 피를 흘리며 바다를 지켰다. 이희완 대령(2023년 현재)은 교전 당시 양쪽 다리 모두 부상을 입었고 한 쪽 다리를 잃었다.

해전 이후 대한민국 해군은 5단계이던 교전수칙을 3단계로 줄이고 현장 지휘관 권한을 강화, 즉각 대응력을 높였다. 전투력을 대폭 높인 신형 고속함(PKX)을 개발했는데 이 종류로 첫번째 진수한 1번함을 '윤영하함'으로 명명했다. 이후 개발된 윤영하급 함정에 제2 연평해전 전사자의 이름을 차례로 붙였다.

북한측 인명피해는 북한측 자료가 엇갈린다. 다만 우리 측 집계로 13명이 사망하고 25명이 다친 걸로 보인다. 당시 교전했던 북한군은 방탄조끼가 아니라면 목화솜옷이라도 지급해 달라고 북한군 상부에 요청했다는 탈북인사의 기록이 있다.

이 전투는 서해교전으로 불리다가 이명박정부 시절 '제2 연평해전'으로 명명된다. 작가 최순조는 소설 '서해 해전'을 썼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연평해전'(2015)이 만들어졌다. 배우 김무열(윤영하 역), 진구(한상국 역), 이현우(박동혁 역) 등이 출연했다.

해전 21주년인 올해, 이날 오전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평택=뉴스1) 김영운 기자 =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 기념행사’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참석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3.6.2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평도·천안함…계속된 서해 도발
북한의 서해 도발은 이후로도 이어졌다. 제2 연평해전 7년 뒤인 2009년 11월 10일, 서해 대청도 인근에서 우리 해군이 NLL을 넘어온 북한 해군 고속정과 교전을 벌여 격퇴했다. 군은 이를 대청해전으로 명명했다.

대청해전 5개월 뒤인 2010년 3월 26일, 서해 백령도와 대청도 사이에서 해군 초계함인 천안함이 북한 잠수정의 어뢰에 피격돼 침몰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그해 11월23일, 연평도에 아예 직접 포격을 가하는 연평도 포격 사건을 벌인다. 우리 군은 북한 황해도 개머리해안 일대에 포를 퍼부으며 반격했다. 또 F-15K 전폭기와 KF-16 전투기를 긴급 출동시켰고 북한도 MiG-23이 출격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이 벌어졌다.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이 2013년 취임 당일 평택 제2함대사령부를 방문해 참수리-357호정 전사자들의 얼굴이 새겨진 부조상을 어루만지며 전우들이 피로써 지킨 NLL을 절대 사수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해군 제공) 2013.9.29/뉴스1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