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토염'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50호 지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도는 29일 '영덕 토염'을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토염은 삼국시대부터 갯벌의 흙과 솥을 이용해 만든 전통 소금으로 이와 관련된 기술과 전통 지식, 소금 생산과 관련된 공동체 문화 등을 감안해 경북도내에서 처음으로 공동체 종목으로 무형문화재가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도는 29일 '영덕 토염'을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토염은 삼국시대부터 갯벌의 흙과 솥을 이용해 만든 전통 소금으로 이와 관련된 기술과 전통 지식, 소금 생산과 관련된 공동체 문화 등을 감안해 경북도내에서 처음으로 공동체 종목으로 무형문화재가 됐다.
영덕 토염은 동해안 해안가에 갯벌의 흙을 이용해 염전을 구축하고 햇볕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염분 함수율을 올린 후 솥에서 끓여 내는 방식이다.
갯벌의 흙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무기질을 소금에 담아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바닷물을 바로 솥에서 끓여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으로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영덕의 해안선은 길이가 길고 온화한 기후와 계절풍의 영향과 함께 해수 이용이 편리해 제염업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 영덕의 소금 생산 지역은 남정면, 영덕읍, 축산면, 병곡면 등이며 병곡면과 남정면을 중심으로 1950년대까지 이어졌으나 6.25동란과 천일염의 대중화, 공장제 소금 등의 보급으로 명맥이 끊어졌다.
최근 영덕에서 학술조사연구와 당시 제염에 직접 참여했던 마을 분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토염 생산방식의 원형 복원 등을 통해 다시 전승하고자 노력 중에 있다.
영덕에서 생산된 토염은 동해안에서 생산되는 어물과 함께 경북의 내륙 지역까지 유입됐는데, 제염자가 생산한 토염을 행상꾼이 매입해 영해에서는 육로로 창수재를, 영덕에서는 황장재를 넘어 안동에 유통되었고 이는 다시 예안·의성·청송·영양 등으로 공급됐다.
이를 통해 유통 경로의 문화적인 측면과 함께 소금 생산 과정과 영덕 지역민들의 공동체 문화 또한 소중한 문화자산으로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다만, 토염은 동해안 지역에서 일부 공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과 함께 문화재청에서 이미 지정한 제염(2018, 공동체 종목)과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았기에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대구CBS 정인효 기자 antiwhom@naver.com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고 훔쳐보며 야산에서 '음란행위'…자율학습하던 학생에 발각
- "친모와 진술 달라"…'냉장고 영아살해' 친부도 입건·친모는 살인죄(종합)
- 지인 화장실 간 사이 가방 '꿀꺽'…1억 6천만원이 사라졌다
- "인천공항 항공기에 폭탄 싣겠다" 협박한 몽골 10대들
- 김연아 '자녀에 피겨 시킬 텐가' 물음에 손사래
- 수원 냉장고 시신 친모 "남은 아이들 걱정에 자수 못 해" 편지 공개
- 택시 들이받은 '역주행' 오토바이…20대 운전자 숨져
- 윤홍근 BBQ 회장, '갑질 제보' 가맹점주에 손배訴 '패소' 확정
- '세월호 보고 조작' 혐의 김기춘…5번 재판 끝에 최종 '무죄 확정'
- IAEA, 日요청 받았나? 오염수 보고서 가지고 韓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