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ice of ramyeon (KOR)

2023. 6. 29. 13: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글보글 끓여 한 젓가락 뜬다.

국물에 김치 한조각까지 얹어 먹으면 산해진미가 부럽지 않다.

찌개나 볶음 어디든 넣기만 하면 색다른 두번째 요리가 탄생한다.

단돈 1000원이면 충분하니 이만한 가성비가 없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ut questions still remain how the current administration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which insisted that the government solve everything.

JANG WON-SEOK

The author is a stock market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oil it and have a bite. You can blow it to cool it down, but it tastes better when it’s hot. You wouldn’t want a fancy meal if you eat it with a piece of kimchi. It goes perfectly well with other foods. You can create something new if you add it to a stew or stir-fried food. As it costs only 1,000 won (77 cents), there is no more cost-effective option than this.

Just like Italian pasta and Vietnamese rice noodles, Koreans have naengmyeon, or cold noodle, and makguksu, a buckwheat noodle. But nothing can beat ramyeon. Korea’s per capita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is 77 per year, the second most in the world. (The first is Vietnam.)

The love for instant noodles transcends generations. Older people often ate ramyeon from the difficult times, while young people study how to make it even tastier. This is why the lineup of ramyeon has become unusually diverse.

Instant noodles are no longer a local food. Last year, Korea’s exports of ramyeon exceeded 1 trillion won for the first time. Local production has also surged. Nongshim’s U.S. factory production has increased by 41.6 percent in two years. The popularity is attributed to the success of so-called K-content. In many Korean dramas and shows, a scene of eating ramyeon is essential. As the world watches it together,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n instant noodles become popular. Chapaguri in the movie “Parasite” — and Buldak Stir-fried Noodles which became hugely popular on social media for its hot spicy taste — are good examples.

These days, foreigners increasingly ask, “I can find Shin Ramyeon here, but how about Samyang Ramyeon?” or “Where can I find Baedonghong, which is advertised by Yoo Jae-suk?” There are signs that consumers are growing in numbers.

In Korea, the ramyeon market is noisy for a different reason.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ic Affairs Choo Kyung-ho said, “The price of ramyeon should go down as the wheat price went down. I hope consumers will exert pressure.” I can relate to the claim because I was furious as to why the price went up with the surging of the raw material price but remains the same when the material price is lowered.

It is the timing that price stability is important. Criticism that it is an excessive market intervention is also reasonable. President Yoon Seok-yeol is inconsistent as he asks foreign consumers to love K-food more but asks Korean consumers to fight against the ramyeon makers for raising prices even when international wheat price went down.

As expected, the industry surrendered. Nongshim, the leading ramyeon maker in Korea, announced the price cut first. It would be great if lowering 50 won per bag significantly helps price stabilization. But questions still remain how the current administration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which insisted that the government solve everything.

라면값장원석 증권부 기자

보글보글 끓여 한 젓가락 뜬다. ‘후후’ 불어도 뜨겁지만 참고 먹어야 제맛이다. 국물에 김치 한조각까지 얹어 먹으면 산해진미가 부럽지 않다. 다른 음식과의 궁합도 좋다. 찌개나 볶음 어디든 넣기만 하면 색다른 두번째 요리가 탄생한다. 단돈 1000원이면 충분하니 이만한 가성비가 없다.

이탈리아 파스타, 베트남 쌀국수처럼 한국에도 냉면과 막국수가 있다. 그래도 라면을 이길 순 없다. 한국의 1인당 라면 소비량은 연간 77개로 세계 2위다. 라면 사랑은 세대를 가리지 않는다. 윗세대는 어려웠던 시절 끼니를 대신했던 습관 때문에 먹고, 젊은세대는 어떻게 하면 더 맛있을까 연구도 한다. 라면의 라인업이 이례적으로 다양해진 배경이다.

라면은 이제 단순한 ‘로컬푸드’가 아니다. 지난해 사상 처음 수출 1조원을 넘어섰다. 현지생산도 급증했다. 농심의 미국 공장 생산액은 2년 새 41.6%나 늘었다. 상승세는 K콘텐트의 성공 덕이다. 어지간한 한국 드라마나 예능에선 라면 먹는 모습이 빠지지 않는다. 그걸 전세계가 함께 보는 시대가 왔으니 몸값이 뛰는 게 당연하다. 영화 ‘기생충’ 속 짜파구리, 매운맛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점령한 불닭볶음면이 대표적이다. 최근 해외에선 ‘신라면은 있는데 삼양라면은 왜 없느냐’ ‘유재석이 광고하는 배홍동은 어디 파느냐’ 등의 문의가 많아졌다고 한다. 소비자층이 두꺼워진다는 신호다.

국내에선 다른 이유로 시끄럽다. “밀 가격이 내린 만큼 라면값도 내려야 한다. 소비자가 압력을 행사하면 좋겠다”는 경제부총리의 발언 때문이다. 원자잿값이 뛸 때 득달같이 오르는 가격이, 내릴 땐 왜 그대로인지 분노했던 걸 떠올리면 공감이 간다. 물가안정이 중요한 시점인 것도 맞다. 과도한 시장개입이란 반론도 일리가 있다. 해외소비자에겐 “K푸드를 더 사랑해 달라”(윤석열 대통령)고 세일즈하면서 국내소비자에겐 라면 회사와 맞서 싸우라고 하니 앞뒤가 안 맞는 측면도 있다.

예상대로 업계가 백기를 들었다. 국내 1위 농심이 가장 먼저 가격인하를 발표했다. 봉지당 50원을 낮춘 게 물가안정에 큰 도움이 된다면 다행이지만, 정부가 모든 걸 해결하겠다던 지난 정부와 대체 무엇이 다른지 의문은 남는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