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코인' 트렌드 된 토큰 소각, 넷마블도 가세…증권성 우려 해소되나

박현영 기자 2023. 6. 29. 11: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페이코인 이어 넷마블 마브렉스도 '토큰 소각'
SEC "'중앙화된 주체' 없으면 증권 아냐"…'토큰 소각'으로 탈중앙성 확보
마브렉스의 토큰 소각 계획.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미유통 가상자산 물량을 소각하는 이른바 '토큰 소각'이 국내 가상자산 업계의 트렌드로 자리잡는 모양새다. 올해 들어 클레이튼, 페이코인 등 일명 'K-코인'들이 토큰 소각 카드를 꺼낸 데 이어 넷마블의 가상자산 프로젝트 마브렉스도 최근 가세했다.

통상 토큰 소각은 투자자 커뮤니티의 여론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효과가 있다. 또 일각에서는 토큰 소각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불거진 가상자산의 '증권성 우려'를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이 제기된다.

◇'양날의 검' 미유통 물량…K-코인 '토큰 소각' 러시 배경

지난 27일 마브렉스는 MBX 토큰 발행량 총 10억개 중 사용 계획을 발표하지 않은 토큰 6억7000만개를 소각하기 위한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투표는 다음달 4일부터 마브렉스의 멤버십 대체불가능토큰(NFT)인 마블러십 보유자(홀더)들과 MBX 토큰 홀더들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소각 여부는 같은 달 10일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이는 올해 초 클레이튼, 페이코인 등 대기업 계열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이 택한 전략이기도 하다. 현재는 운영사가 독립 법인으로 분리됐으나 클레이튼은 본래 카카오 계열사의 가상자산 프로젝트였다. 페이코인 역시 다날의 프로젝트다.

클레이튼 재단은 지난 2월 가상자산 클레이(KLAY) 미유통물량 약 74억8000개 중 73%인 52억8000개를 소각하기로 했다. 또 페이코인은 지난 1월 말까지 4차례에 걸쳐 소각을 진행, 발행사 보유량의 52%에 해당하는 토큰을 소각했다.

'토큰 소각' 카드는 프로젝트 입장에선 부담이 되는 선택이다. 통상 가상자산 프로젝트 운영사들은 미유통 물량의 일부를 '마케팅용' 또는 '운영비'로 사용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다. 즉, 미유통 물량을 소각할 경우 추가 상장, 에어드롭 등 마케팅이 필요한 시기에 사용할 토큰이 부족할 수 있다.

하지만 미유통 물량은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마케팅용으로 쓸 수 있으나, 운영사가 토큰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가격을 떨어뜨린다는 의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토큰 소각을 택하는 운영사들은 이 같은 투자자들의 의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마브렉스 역시 현재 사용 계획이 정해진 물량만으로도 마브렉스 블록체인 생태계를 운영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케팅용으로 쓰일 미유통 물량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다.

마브렉스 측은 "현재 계획된 유통량만으로도 마브렉스 생태계를 운영하는 데 충분하다고 판단했다"며 "잠재적인 유통 압력으로 인한 시장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투명한 토큰 경제를 확립하고자 사용 계획이 정해지지 않은 미유통 물량을 2026년까지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마브렉스는 공개된 토큰 유통 계획에 따라 사업을 운영할 것이며, MBX 가치를 제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증권성 우려 없애는 데도 도움…탈중앙성 확보 전략

프로젝트 운영사들의 의도대로 토큰 소각의 가장 큰 효과는 투자자 커뮤니티의 인식 변화다.

일례로 마브렉스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AMA)'에서 토큰 소각 계획을 공유하자 텔레그램, 디스코드 등 투자자 커뮤니티에선 '장기 투자자를 위한 결정'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에 더해 일각에서는 최근 모든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의 리스크가 된 '증권성' 문제를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이 제기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달 초 카르다노(ADA), 솔라나(SOL) 등 시가총액 규모가 비교적 큰 19개 가상자산들을 증권으로 분류했다. 이에 다른 가상자산들도 증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미리 없애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가상자산 시장은 국경이 없는 만큼,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미국에서 증권으로 분류되면 일부 가상자산 거래소에선 거래될 수 없을 뿐더러 글로벌 사업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어서다.

현재 미국에서 증권성 판단 기준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이른바 '힌먼 연설'이다. 가상자산과 증권 간의 경계를 언급한 연설로, 현재 SEC가 증권 분류의 명확한 기준을 밝히지 않아 '힌먼 연설'이 더욱 회자되고 있는 것이다. SEC는 지난 13일 윌리엄 힌먼(William Hinman) 전 SEC 기업금융국장의 2018년 연설문을 공개했다.

당시 힌먼 국장은 이더리움(ETH)이 증권이 아니라고 언급하며 그 근거로 '탈중앙성'을 들었다. 또 "원래 증권성이 있던 디지털자산(가상자산)이라도, 중앙화된 주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증권이 아닐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기준에 따르면 발행사(운영사)의 권한을 최대한 줄이고, 탈중앙성을 부각시키면 증권에 해당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토큰 소각 역시 운영사의 권한을 줄이기 위한 장치인 만큼, 증권성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란 시각이다.

국내 가상자산 벤처캐피탈(VC) 관계자는 "작년 '위믹스 사태'를 기점으로 공지 없이 토큰 물량을 유통시키는 것은 위험하다는 인식이 퍼졌고, 유통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수준도 매우 높아졌다"며 "최근 정치권과의 결탁 의혹도 발행사가 미유통 물량을 마음대로 썼을 것이란 투자자들의 의심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회사가 쓸 수 있는 물량을 다 소각해버리면 (해당 가상자산 프로젝트에 있어) 발행사의 권한을 줄인 셈이고, 발행사 입장에선 향후 '탈중앙성'을 확보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hyun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