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습 세무조사" 대형학원 압박…사교육 부조리 100여 건

임태우 기자 2023. 6. 29. 0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실이 사교육 업계의 부적절한 유착 관계에 사법조치를 언급한 지 이틀 만에 국세청이 특별세무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서울 강남의 대형 입시학원 여러 곳이 조사 대상으로 그동안 호황을 누려온 학원가에 대한 전방위 압박의 신호탄으로 풀이됩니다.

국세청 관계자는 세무조사 대상을 주요 입시학원과 기관 10곳 정도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교육 당국의 합동 점검, 공정위 조사까지 예고돼, 사교육 업체들에 대한 고강도 압박이 갈수록 거세질 전망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실이 사교육 업계의 부적절한 유착 관계에 사법조치를 언급한 지 이틀 만에 국세청이 특별세무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서울 강남의 대형 입시학원 여러 곳이 조사 대상으로 그동안 호황을 누려온 학원가에 대한 전방위 압박의 신호탄으로 풀이됩니다.

첫 소식, 임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대 사교육 업체 메가스터디.

중고등 입시에 주력하는 자회사 메가스터디 교육은 지난해 1천3백억 원 넘는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습니다.

1년 새 30% 넘게 증가했습니다.

대치동 학원가를 장악한 시대인재의 영업이익도 155억 원에서 270억 원으로 70% 넘게 껑충 뛰었습니다.

세무당국이 사교육 시장에 칼을 빼들었습니다.

어제(28일), 입시학원 대표 격인 메가스터디와 종로학원에 세무조사를 기습 통보하고 회계 자료를 가져갔습니다.

대통령실이 '이권 카르텔'에 대한 사법조치 가능성을 언급한 지 이틀 만입니다.

국세청 관계자는 세무조사 대상을 주요 입시학원과 기관 10곳 정도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국세청은 수강료 수입 신고를 빠뜨렸거나 학원 사업자가 자녀에게 몰래 증여한 게 없는지 등을 꼼꼼하게 들여다볼 방침입니다.

주요 학원들은 당장 다음 달로 계획했던 수시 설명회와 홍보, 컨설팅을 대폭 축소하고 있습니다.

[대형 입시학원 관계자 : 수시 원서 접수를 앞둔 학원가의 시점으로 봤을 때 굉장히 뒤숭숭하고 애들한테 좀 피해 안 가도록 설명회도 하고 준비해야 될 때인데 (걱정입니다.)]

지난주부터 운영 중인 사교육 부조리 신고센터엔 벌써 100건 넘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교육 당국의 합동 점검, 공정위 조사까지 예고돼, 사교육 업체들에 대한 고강도 압박이 갈수록 거세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최은진)

임태우 기자 eigh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