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살아야 한국도 산다"…산학 전문가가 본 'K-반도체 해법'
[편집자주]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의 시대다. 미국,일본, 대만, 유럽 등 각국이 각축을 벌인다. 반도체는 지난해 한국 전체 수출액의 약 20%(1292억 달러)를 차지하는 주력 산업이다. 한국이 반도체 경쟁력을 잃는 순간 국가적 위기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과거 20년 동안 한국을 먹여살린 반도체 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비전을 모색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KIET) 전문 연구원은 메모리반도체 선두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의 초격차 기술력 확보, 정부는 외교적 노력을 꼽았다. 김 연구원은 "메모리반도체는 10년 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잘 나갈 것"이라며 최근 들어 빅데이터와 AI(인공지능),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메모리반도체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봤다. 그는 한국 기업들이 이같은 반도체 응용처 변화에 발맞춰 고대역폭메모리(HBM)을 개발하는 등 적기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패권 경쟁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협상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압도적인 기술력이 곧 한국 반도체의 대체할 수 없는 지위를 보장해줄 것이라며, 정부가 그것을 믿고 적극 조율에 나서야 한다고 봤다.
한국 반도체를 둘러싼 대외 환경을 외교적 노력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본 사람은 또 있다. 공대생으로 SK하이닉스 반도체 연구소에서 근무하다 지금은 증권사 애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는 도현우 NH투자증권 기업분석부 테크팀장이다. 그는 1980년대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다 몰락한 일본 사례를 교훈삼아야 한다고 보면서 "기술적인 문제보다 외교 정책 문제가 (일본 반도체 산업 후퇴의)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도 팀장은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강한 영향력과, 무시할 수 없는 시장 중국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며 "외교적으로 중립적 입장을 취하면서 실익을 얻는 '슈퍼 을'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운명적으로 미국, 중국 모두와 사이좋게 가야한다"고 했다.
아울러 시장 대처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박영준 서울대학교 정기정보공학부 명예교수는 한국 반도체 산업 위기 원인 중 하나로 경쟁국에 비해 시장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점으로 지적했다. 훌륭하고 풍부한 기술에 비해 고객 솔루션을 제공하고 해외 경쟁 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지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최대 경쟁사인 대만 TSMC는 우수 인력들이 애플이나 구글 등 주요 고객사에 진출해 있어 국내 기업들보다 시장 파악에 뛰어나다. 박 교수는 "반도체도 고객을 만족시키는 업종이기 때문에 고객 니즈를 파악해야 하는데 한국은 그런 것이 미흡하다"고 말했다.
한지연 기자 vividhan@mt.co.kr 이재윤 기자 mton@mt.co.kr 오진영 기자 jahiyoun2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만삭 때 전남편과 사귄 女, 네 배는 알아서 하라더라" 박미선 경악 - 머니투데이
- "30대 가장, 극단적 선택…부추긴 악마? AI 챗봇이었다" 충격 - 머니투데이
- 부부애 과시하던 송중기·송혜교 돌연 이혼…'잘잘못' 언급[뉴스속오늘] - 머니투데이
- 강인, '정준영 단톡방 사건' 심경고백…"연루 의혹 힘들었다" - 머니투데이
- 박명수, 임창정에 노래 뺏겼다?…"3일 답장 안 했더니 넘어가" - 머니투데이
- "내 아이 죽인 태권도 관장, 애 낳았다고 웃더라"…면회 간 유족 '분통' - 머니투데이
- "삼전과 합병할수도" 깜짝 리포트…삼성SDS 주가 10% 급등 - 머니투데이
- 김정민, 월 보험료만 600만원…"30개 가입, 사망보험금 4억" - 머니투데이
- '이혼' 이동건, 공개연애만 5번 한 이유…"상대방 존중하려고" - 머니투데이
- 죽은 학생 패딩 입고 법원에…'집단폭행' 가해자 뻔뻔함에 전국민 분노[뉴스속오늘] - 머니투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