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더 정확히 예측…지스트 한국형 시스템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미센먼지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시스템이 개발됐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지구·환경공학부 송철한 교수 공동연구팀이 한국 정지궤도위성과 대기질 지상 관측망 자료, 한국형 모형 'CMAQ-GIST'로부터 얻은 초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결합해 최적의 초기조건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뉴시스] 배상현 기자 = 초미센먼지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시스템이 개발됐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지구·환경공학부 송철한 교수 공동연구팀이 한국 정지궤도위성과 대기질 지상 관측망 자료, 한국형 모형 ‘CMAQ-GIST’로부터 얻은 초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결합해 최적의 초기조건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대기화학 모델의 초기조건은 기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크지만, 이 시스템에서는 자료동화 기법을 활용해 실시간 관측 자료를 적용하므로 초기조건에 현재 시점의 대기질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최적의 초기조건 하에 수행된 실시간 예측은 세계 최고 성능으로 알려진 유럽중기예보센터의 예측보다 무려 24%나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으로 작년 1월부터 실시간 대기질 예보를 수행하고 지스트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작년부터 발생한 세 차례의 고농도 초미세먼지 사례에서 유럽중기예보센터보다 초미세먼지를 훨씬 더 정확하게 예측한 바 있다.
송철한 교수는 “향후 한국형 대기질 모델에 현재 개발 중인 인공지능 시스템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연구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전 세계 초미세먼지 및 대기질 예측 분야를 선도하는 최고의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교수가 지도하고 유진혁 박사과정생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서울연구원 이소진 박사, 유니스트 송창근·임정호 교수 등이 참여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동북아-지역 연계 초미세먼지 대응 기술 개발 사업’에서 지원을 받았다.
연구 성과는 대기·기상학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인 네이처(Nature) 자매지 `기후와 대기과학'에 지난 5월 23일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praxis@newsis.com
Copyright©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현정 "코 보정물 빼고 선해져…돈 떼이고 목사와 결혼"
- 이동건 "호주 유학 중 피살된 친동생 소식에 무너져"
- 리사 "직장암으로 자궁·질 적출 수술…우울증까지" 충격 근황
- "한혜진, 결혼 전 기성용 아버지 만나 설득"
- 고민시, 파격 노출 패션…완벽한 S라인 몸매[★핫픽]
- '남태현과 마약' 서민재 "이미지 박살 나…가족도 잃어"
- 서동주, 발리에서 뽐낸 비키니 자태…넘사벽 글래머 몸매[★핫픽]
- "풋풋하다"…이민정, 추억 사진 공개[★핫픽]
- 박나래, 55억 단독주택 고충 "비 오면 택배 다 젖어"
- 자승스님 입적 칠장사 감식…CCTV에 하얀 통 든 모습 찍혀(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