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세대 나이스’ 오류 속출… 공공 SW 대기업 참여 막은 예고된 참사
2023. 6. 26. 00: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800억 원을 들여 21일 개통한 4세대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나이스(NEIS)'에서 접속이나 자료 이관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오류가 속출하고 있다.
근본적으론 지난 10년 동안 대형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에 대기업의 참여를 막아 빚어진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에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2019년부터 네 차례나 요청했지만 모두 반려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800억 원을 들여 21일 개통한 4세대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나이스(NEIS)’에서 접속이나 자료 이관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오류가 속출하고 있다. 급기야 다른 학교의 시험 정답표가 인쇄되는 사고까지 발생했다. 기말고사를 앞두고 시험 문항을 수정하거나 시험 일정을 변경하는 등 학교 행정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이번 사태는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무리하게 시스템 교체를 진행한 교육부의 책임이 크다. 6월 말은 수행평가 입력, 기말고사 준비 등으로 학교 업무가 과중되는 시기다. 아직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시스템을 방학이 아닌 학기 말에 급하게 개통해야 했는지 의문이 든다. 개발업체에 대한 관리감독과 개통 전 사전 점검이 부실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다. 조속히 원인을 파악하고 시스템을 안정시켜 현장의 혼란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근본적으론 지난 10년 동안 대형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에 대기업의 참여를 막아 빚어진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에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2019년부터 네 차례나 요청했지만 모두 반려됐다. 결국 2021년부터 중견·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시스템 개발을 진행했다.
중견·중소기업들이 개발한 대형 공공 SW 시스템이 시작부터 먹통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온라인 개학 때 시스템 과부하로 접속 오류가 이어졌다. 2021년엔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이 불통이 됐고,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의 오류로 행정업무가 마비됐다. 이때마다 정부는 뒤늦게 대기업을 투입해 문제를 해결했다.
공공 SW 사업에서 대기업의 참여가 제한된 것은 2013년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개정되면서부터다. 대기업의 독점을 막고 중견·중소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명분이었지만 지금은 득보다 실이 더 크다. 중견기업들은 더 성장할 유인이 없고, 국내 수주 실적이 없는 대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었다. 대기업 참여를 무조건 제한하기보다는 중견·중소기업과 상생하면서도 공공 서비스의 품질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번 사태는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무리하게 시스템 교체를 진행한 교육부의 책임이 크다. 6월 말은 수행평가 입력, 기말고사 준비 등으로 학교 업무가 과중되는 시기다. 아직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시스템을 방학이 아닌 학기 말에 급하게 개통해야 했는지 의문이 든다. 개발업체에 대한 관리감독과 개통 전 사전 점검이 부실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다. 조속히 원인을 파악하고 시스템을 안정시켜 현장의 혼란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근본적으론 지난 10년 동안 대형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에 대기업의 참여를 막아 빚어진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에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2019년부터 네 차례나 요청했지만 모두 반려됐다. 결국 2021년부터 중견·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시스템 개발을 진행했다.
중견·중소기업들이 개발한 대형 공공 SW 시스템이 시작부터 먹통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온라인 개학 때 시스템 과부하로 접속 오류가 이어졌다. 2021년엔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이 불통이 됐고, 지난해 9월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의 오류로 행정업무가 마비됐다. 이때마다 정부는 뒤늦게 대기업을 투입해 문제를 해결했다.
공공 SW 사업에서 대기업의 참여가 제한된 것은 2013년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개정되면서부터다. 대기업의 독점을 막고 중견·중소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명분이었지만 지금은 득보다 실이 더 크다. 중견기업들은 더 성장할 유인이 없고, 국내 수주 실적이 없는 대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었다. 대기업 참여를 무조건 제한하기보다는 중견·중소기업과 상생하면서도 공공 서비스의 품질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푸틴의 요리사’… 23년 권좌 흔들다
- [정용관 칼럼]후쿠시마를 爭地 삼으려는 이재명의 ‘민폐 정치’
- [단독]티베트 망명정부 “민주당 무지한 발언, 깊은 상처 줘”
- 현대건설, 사우디서 역대 최대 6조5000억원 규모 공사 수주
- “10억 달러 흥행될 것” 머스크-저커버그 진짜 혈투?[횡설수설/박중현]
- 깍두기 인사에 “형님”…영화 ‘친구’ 조폭 두목의 결혼식 풍경
- 尹, 이르면 29일 일부 장차관-권익위장-방통위장 인사
- 라면값 잡는다고 물가 잡힐까[오늘과 내일/김유영]
- 펜션 베란다서 담배 피우다 난간 무너져…2명 추락, 1명 사망
- ‘두 아이 아빠’ 의혹 도연스님, 속세로 돌아가나…환속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