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지켜낸 정읍사람 , '안의 · 손홍록선생 선양 모임' 창립식

곽시형 2023. 6. 22. 14: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료의 중요성 ․ 기록의 소중함 일깨워, 민족사 보존의 의의 기리고 계승해야”

이학수 정읍시장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나라를 구하고 역사와 문화재를 지킨 안의 ․ 손홍록을 중심으로 한 많은 정읍인들의 의롭고 용기 있는 행동은 우리 후손들이 기리고 이어가야 할 정신이다”고 강조했다. / 정읍시

[더팩트 | 정읍 = 곽시형 기자] ‘조선왕조실록(이하 조선실록)’은 국보 제151호이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세계적인 기록물이다. 조선 제1대 왕 태조부터 제25대 왕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 간의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 전북 정읍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태조에서 명종에 이르는 조선 전기 200년을 담은 조선실록을 지켜 낸 곳이 정읍이다.

‘문화재지킴이날’인 22일 이를 기리고 조선실록을 목숨 걸고 지켜낸 정읍사람들, 특히 안의와 손홍록 선생을 선양하기 위한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창립식을 가졌다. 서울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에서 ‘안의 손홍록선생 선양 모임’을 구성하고 조선실록의 중요성과 이를 지켜 낸 의의와 지켜 낸 사람들의 정신 선양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이 자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모임의 고문을 맡은 박영일 전 쌍용양회 대표, 안의 문중 대표 안성협씨, 손홍록 문중 대표 손상호씨, 이학수 정읍시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이 함께 했다. 특히 이홍식 연세대 명예교수, 이정수 변호사, 오천진 수빈운수 대표 등 뜻을 같이하는 50여명도 동참했다.

이들은 앞으로 조선실록 이안(移安)과정 웹툰 제작 등을 통해 홍보에 주력하고 안의와 손홍록 선생 선양사업과 그들의 고향인 옹동과 칠보 소재 학교 장학사업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기록문화, 특히 조선실록에 평소 관심이 높았던 박영일 고문은 "세계적인 기록유산을 간직하고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를 지켜 낸 분들에 대해서 조명하고, 그들의 노고에 대해서 잊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창립 취지를 밝혔다.

조선의 역사가 기록된 조선실록은 4대 사고(史庫)인 춘추관, 충주·성주·전주사고에 분산시켜 보관할 정도로 철저한 관리 속에 지켜져 왔다. 그러나 1592년 4월 임진왜란 발발 20여 일 만에 성주사고, 충주사고, 춘추관 등에 보관돼 왔던 조선실록은 불에 탔고, 유일하게 남은 전주사고본도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했다. 당시 전주사고에는 조선실록 800여 권을 비롯 ‘고려사’등 국가 주요 서적이 보관되어 있었고, 경기전에는 태조의 어진 등이 봉안되어 있었다.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모임의 고문을 맡은 박영일 전 쌍용양회 대표, 안의 문중 대표 안성협씨, 손홍록 문중 대표 손상호씨, 이학수 정읍시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이 함께 했다. 특히 이홍식 연세대 명예교수, 이정수 변호사, 오천진 수빈운수 대표 등 뜻을 같이하는 50여명도 동참했다. / 정읍시

이에 같은 해 6월 22일(당시 음력 기준) 정읍의 선비 안의(安義)와 손홍록(孫弘祿)은 실록을 전란의 위기로부터 지키기 위해 마을사람 20여명과 함께 전주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실록을 정읍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겼고, 이후 더 깊은 산속인 은적암, 비래암 등으로 옮겨가며 1년 여 동안 지키면서 매일의 상황을 ‘임계기사(壬癸記事,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도 남겼다.

두 사람은 실록이 익산과 아산, 인천을 거쳐 강화부까지 옮겨질 때도 사재를 털어 동행하면서 실록을 지켜 냈다. 전쟁이 끝난 후 조선왕조는 전주사고본을 토대로 복본(複本)하여 춘추관, 마니산, 태백산, 묘향산, 오대산 사고 등 좀 더 안전한 깊은 산중에 보관해왔고, 한국전쟁 등의 우여곡절 끝에 조선실록은 1997년에 훈민정음과 함께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만약 이들이 실록을 지켜내지 못했다면 임진왜란 이전의 조선의 역사가 모두 소실돼 오늘날 온전한 조선왕조실록을 만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를 높이 평가해서 문화재청은 2018년 전주사고에 있던 실록과 어진을 정읍, 즉 내장산으로 옮긴 6월 22일(물론 당시 기준 음력)을 문화재 지킴이의 날로 지정했다. 올해 문화재지킴이의 날인 22일 뜻깊은 행사(안의․손홍록선생 선양 모임)가 열린 배경이다.

이학수 시장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나라를 구하고 역사와 문화재를 지킨 안의 · 손홍록을 중심으로 한 많은 정읍인들의 의롭고 용기 있는 행동은 우리 후손들이 기리고 이어가야 할 정신이다"고 강조했다. 또 "더 많은 국민들의 관심을 촉구하고 그 정신을 기리기 위해서 조선왕조실록 이안 재연 연구를 시작으로 정읍문화원을 통해 매년 이안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내년부터는 이 사업을 더욱 확대해 전주시와 인근 지자체 문화원과 협력해 전북, 나아가 국가 차원의 큰 행사로 키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최근 내장산 조선왕조실록 보존 터로 가는 탐방로 내 여섯 곳에 손홍록과 안의를 비롯한 일행들이 어진과 실록을 이안하는 행렬을 형상화한 조형물을 설치했다.

scoop@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