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종목 사라" 리딩방의 배신…거액 챙겨 잠적하기도

조윤하 기자 2023. 6. 18. 20: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식을 추천해 주고 투자에 도움을 주는 이른바 리딩방들이 SNS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런 리딩방은 주로 방장이 여러 사람에게 투자 자문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실제로 한 리딩방 운영자는 회원들에게 주식을 추천하기 전, 자신이 미리 매수한 뒤 주가가 오르면 되팔아서 금융당국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주식을 추천해 주고 투자에 도움을 주는 이른바 리딩방들이 SNS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발생한 5개 종목 하한가 사태, 그 배후로도 이런 비슷한 역할을 한 커뮤니티 운영자가 지목돼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조윤하 기자입니다.

<기자>

1만 명 넘는 사람들이 들어가 있는 한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오전 9시 장이 열리자마자 어떤 종목을 얼마에 사라고 구체적으로 추천해 줍니다.

1시간 뒤, 오늘 한 종목을 '리딩'하겠다며 신호를 줄 테니 매수하라고 합니다.

다른 채널에 들어가서 주식 상담을 받아봤습니다.

1달에 50만 원, 3달 동안 99만 원을 내면 더 확실하게 벌 수 있다며 유료방 가입을 유도합니다.

이런 리딩방은 주로 방장이 여러 사람에게 투자 자문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얼마에 사고, 얼마가 되면 팔라며 구체적으로 매매를 지시하는데, '사기'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한 리딩방 운영자는 회원들에게 주식을 추천하기 전, 자신이 미리 매수한 뒤 주가가 오르면 되팔아서 금융당국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은 뒤 잠적한 사건도 있습니다.

[불법 리딩방 사기 피해자 : 500만 원을 넣었는데 한 2억 가까이 땄어요. 돈을 빼려면 무슨 세금을 내야 한다, 그래서 입금을 해줬어요. 그런데 어느 순간에 바로 잠수를 타버리는 거죠.]

5종목 하한가 사태 근원지로 지목된 바른투자연구소의 운영자 강 모 씨도 몇몇 종목을 찍어 투자를 권유해 왔습니다.

강 씨는 "저평가된 종목들에 대해 소액주주 운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검찰은 시세조종에 해당하는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불법 리딩방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단속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이승희)

조윤하 기자 hah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