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여의도 11만원, 누가 탈까

김창성 기자 2023. 6. 17. 06: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상용화 길목서 주춤한 UAM②] 노선 설정·소음 등 변수도 대중화 발목 우려

[편집자주]친환경자동차, 자율주행 등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의 주역으로 떠오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용화가 다가오고 있지만 아직은 우려가 가득하다. 상용화가 되면 이동 혁명은 물론 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나 관련법과 보험제도 마련이 미흡한 데다 비싼 요금과 소음, 비행 노선 등 해결과제와 변수가 만만치 않다.

UAM 상용화까지 2년여밖에 남지 않았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가득하다. 사진은 한화시스템과 오버에어가 공동개발중인 UAM 기체 버터플라이. /사진=한화시스템
▶기사 게재 순서
①택시냐 비행기냐… 관련법·보험 마련도 시급
②인천공항-여의도 11만원, 누가 탈까
③ UAM에 뛰어든 기업들… 준비상황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용화까지 2년여밖에 남지 않았지만 '이동 혁명'이라 불리는 기대감과는 달리 관련법 하나 마련된 게 없다. 빠른 이동에 따른 비싼 요금은 물론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를 나와 집무실을 용산 대통령실로 옮기면서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따라 항로 설계도 제약이 많다. 고속 비행체인 만큼 이·착륙 시 발생하는 소음도 우려스럽다.


빠른 이동 장점, 비싼 요금은 글쎄


UAM 등장은 필연적이다. 지상은 사람과 건물, 자동차 등으로 꽉 차 과밀 상태이기 때문이다. 지나친 지하화에 따른 지반 약화가 빈번한 '땅 꺼짐 현상'(싱크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지하철 확충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대안으로 공중을 꼽는 이들이 많았다. 세계 각 나라가 UAM을 혁신적인 미래 모빌리티로 꼽으며 기존 교통체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대안으로 지목한 것도 이 때문이다.

2016년 UAM의 개념을 처음 정립한 에릭 엘리슨 우버엘리베이트 대표는 2년 뒤 국내에서 열린 한 포럼에 참석해 "서울 종로에서 안산까지 대중교통 이용 시 1시간57분, 택시로 1시간13분이 소요되지만 UAM을 타면 12분 만에 도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중교통 소요시간을 뛰어넘는 '이동 혁명'을 강조하기 위한 설명이다.

UAM 상용화 기대감이 크지만 기존 대중교통 요금을 크게 넘을 비싼 이용료는 걸림돌이다. UAM의 빠른 정착과 대중성이 각인되려면 대중이 수용할 수 있는 요금 체계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
UAM은 '이동 혁명'이라 불리는 기대감과는 달리 관련법 하나 마련된 게 없어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사진은 무인항공기·드론 제조업체 숨비가 특허 출원을 추진한 저충격 UAM착륙시스템(LILS) 렌더링 이미지. /사진=숨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UAM 요금은 상용화 초기 40㎞(인천공항-여의도) 기준 11만원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같은 거리를 이동하는 모범택시보다도 2배가량 비싸다.
한 민간 전문가는 "UAM이 상용화 돼도 비싼 요금 때문에 이용자가 없으면 생태계는 조성될 수 없다"며 "빠른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수용 가능한 요금 범위를 고민해 책정하는 것이 초기 시장 안착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커진 노선 고민


UAM의 비싼 요금이 예측되는 이유는 또 있다.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이 다양한 UAM 노선 구상의 변수로 작용해서다.

서울 전역과 주변 도시는 UAM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노선이 오갈 수 있는 필수 구역이다. 서울 중심에 자리 잡은 용산 역시 UAM 노선과의 연계성이 중요한 곳으로 꼽히지만 국방부 청사에 대통령 집무실까지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돼 노선 변경이 불가피하다.

대통령 집무실 기준 반경 3.7㎞가 비행금지구역(P-73)이다. 동쪽으로는 한강 동호대교 주변, 서쪽은 마포 일대, 남쪽은 국립현충원, 북쪽은 서울시청 주변까지다.

여의도와 남산, 명동, 이태원, 고속터미널 등 인구 밀집지역 주변도 해당 범위에 들어가 있어 제약이 많다. 수도권에 자리한 군(軍)부대 및 관련 시설 주변 역시 UAM 운항 노선 설정에는 걸림돌이다.
UAM 상용화를 앞두고 비싼 요금과 비행 노선 설정 등 해결과제가 산더미라는 지적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UAM과 연계한 관광노선을 구상중인 서울시도 고심이 깊다. 인천공항에서 UAM을 타고 강남으로 이동할 경우 비행금지구역인 용산 주변 한강은 통과할 수 없다.

관악산이나 과천 등으로 비행 노선을 변경해도 주변 군부대나 관련 시설 등을 고려하면 우회 노선 설정 역시 쉽게 가늠되지 않는다.

서울시는 한강 일대 관광 상품과 연계한 '서울형 UAM' 도입 방향 등 기본 계획을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지만 관련법 등이 미비한 상황에서 우려를 잠재울 복안까지 제시하지 못한다면 수도 서울의 UAM 상용화는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도심에서 이·착륙할 UAM이 불러올 소음·사생활 침해 문제 등도 상용화 전 해결 과제다.

UAM에 의해 발생할 소음이 어느 정도 인지 가늠할 수 없지만 수직 이·착륙 기체인 헬리콥터 정도의 소음이 발생한다면 주거지 주변, 빌딩 옥상 등에 지어질 버티포트 건설에는 반대의 목소리가 커질 것이 자명하다.

이·착륙을 위한 저공비행 시 주변 주거지와 업무시설에 대한 사생활 침해 우려도 크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올 초 열린 한 포럼에 참석해 "UAM 기체인증 가이드, 버티포트 설계기준 등 민간에서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세부 규정들은 연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