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타강사 정승제 “저출산은 ‘허세’ 인스타 때문”… 네티즌 공감 쏟아졌다

김자아 기자 2023. 6. 14. 15: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학 일타강사 정승제가 강의 도중 저출산 이유에 대해 이야기 했다./유튜브

연봉 100억원 이상을 번다고 밝힌 수학 일타강사 정승제가 저출산 원인이 소셜미디어 ‘보여주기식’ 문화와 관련 있다고 밝혀 네티즌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정승제 관련 영상이 올라오는 한 유튜브 채널에는 지난 12일 ‘호텔? 오마카세? 골프? 다 허세야’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정승제가 강의 중 저출산 문제를 언급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승제는 “우리 때는 오마카세라는 단어가 없었다. 무슨 오마카세냐. 인스타그램? 오마카세? 골프? 상상도 못 할 일이다. 우리나라에 페라리가 한 대도 없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때는 다 못살았는데 아기는 많이 낳았다. 지금은 다 잘 사는데 왜 아기를 안 낳을까? 그게 인스타그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수학 일타강사 정승제가 강의 도중 저출산 이유에 대해 이야기 했다./유튜브

그는 “남들이 나보다 형편이 좋은 거로 착각하게 만든다. 인스타그램 안에 들어있는 얼굴은 다 가식, 거짓이다. 보통 찍을 때만 웃고 끝나면 시무룩해진다”며 “(인스타그램을 보면) 나만 불행한 것 같고, 나만 애를 잘 못 키울 거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스타그램 보면 다 호텔에서 애들이랑 놀아주는 사진밖에 없다”며 “(나는) 아무리 벌어도 호텔에서 애들이랑 못 놀아 줄 거 같다. 하룻밤에 1000만원이 넘는데 아이를 어떻게 놀아주냐”고 했다.

아울러 “한 달에 100만원 저금하는 것도 진짜 많이 저축하는 건데”라며 “인스타그램에 나오는 하룻밤 100만원짜리 호텔에 오마카세까지 먹으면 둘이 하루에 한 200만원은 소비하겠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인스타그램을 믿지 말자. 인스타그램 없던 시절이 최고의 시절이었다”고 덧붙였다.

영상을 본 네티즌들 사이에선 정승제의 말에 공감이 간다는 반응이 줄이었다.

한 네티즌은 “평범한 20대 후반인데 전적으로 공감한다. 인스타 보면 외모지상주의도 심하고 물건도 모두 고급이라 아기를 낳으면 내 아기도 최고로 만들어야 할 것 같은 느낌에 못 낳겠다”고 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이거 진짜 인스타 때문 맞다. 옛날에는 인생 살면서 연예인들의 삶이나 소위 잘 사는 사람들의 삶을 엿볼 기회가 거의 없고 고만고만한 주변 사람들 똑같은 인생을 보면서 살았지만 지금은 그게 아니다. 앉아서 티비 틀면 육아방송이랍시고 연예인들 100평짜리 리버뷰 아파트에서 삼남매 키우면서 깔깔대고 있고, 인스타 들어가서 육아 태그 보면 포르쉐로 애들 영어 유치원 데려다 놓고 있으니 애 낳을 엄두가 안난다”고 했다.

이 밖에도 “너무 맞는 말이다. SNS 보고 남들 다 하는 걸 나만 못하는 것 같아서 따라 하려고 하니 불행해진다” “당장 일 그만둬도 평생 오마카세 먹을 수 있을 것 같은 정승제가 말하니까 더 와닿는다” 등의 공감 반응이 나왔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젊은층은 출산과 육아에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만 19~34세 청년 1047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출산을 꼭 하겠다는 응답은 17.1%에 불과했다.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는 양육비나 교육비 등 경제적 이유가 57%로 가장 컸고, ‘내 삶을 희생하고 싶지 않아서(39.9%)’, ‘사회가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아니어서(36.8%)’ 등이 꼽혔다.

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와 한국 리서치가 지난해 말 ‘아시아인의 가족과 행복’이란 주제로 서울·뉴욕·베이징 등 대도시 15곳에 거주하는 만 18~59세 시민 1만500명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울 시민의 81%가 자녀에 대해 ‘경제적 부담’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