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원로들 “언론 자유 역행”…‘KBS 수신료 분리징수’ 중단 촉구
‘쿠데타적 음모’ 진행” 비판
시민사회 원로들이 ‘한국방송공사(KBS) 수신료 분리징수’ 절차를 중단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KBS 시청자위원회도 수신료 분리징수를 철회하라고 입장문을 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KBS 수신료 분리징수를 위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14일 보고 안건으로 상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함세웅 신부(전 평화방송 사장), 김상근 목사(전 KBS 이사장), 김중배 전 문화방송 사장, 권영길 전 민주노동당 대표 등은 13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은 비정상적인 방통위의 폭주”라며 “공영방송 장악 음모인 수신료 분리징수 책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가 ‘언론 자유’에 역행한다고 비판했다. 김상근 목사는 “KBS 이사장으로 있는 동안 청와대, 문화체육관광부 어디서도 한 건의 압력이 없었던 것은 언론노동자, 임원이 투쟁하고 시민이 지원해서 발전한 것”이라며 “다시 정권이 언론을 장악하려는 노골적인 시도가 자행되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목사는 1986년 전두환 대통령 시절 ‘땡전 뉴스’(1980년대 오후 9시 뉴스 시작과 동시에 ‘전두환 대통령은’이라는 말로 시작하던 뉴스)를 비판하며 ‘KBS 시청료 거부 운동’을 하기도 했다.
원로들은 현 정권의 KBS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이 ‘쿠데타적 음모’라고 주장했다. 김중배 전 사장은 “(정권이) 수신료라는 벌이를 빌미로 KBS를 장악하고, ‘땡윤 뉴스’의 부활을 알리는 ‘쿠데타적 음모’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초대 언론노조 위원장을 지낸 권영길 전 대표도 “윤석열 정권이 KBS 수신료를 분리 징수하겠다고 하는 것은, KBS를 권력·자본의 도구로 만드는 길”이라고 비판했다.
원로들은 “동아일보 광고주들에게 광고를 싣지 말라는 압력을 넣어 언론을 길들이려 한 박정희, 언론인들을 대량 해직하고 언론사를 통폐합한 뒤 ‘보도지침’으로 언론을 쥐락펴락한 전두환은 어떻게 됐는가”라며 “법보다 더 무서운 국민, 역사의 심판은 어찌 감당할 셈인가”라고 물었다.
강한들 기자 handl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점선면] 강선우만? 장제원부터 송언석까지···국회의원 ‘갑질’의 역사
- [속보]이 대통령, ‘옹벽 붕괴사고’ 오산시장에 “도로 통제 안 한 경위 뭐냐”
- 빼돌린 시험지 없이 시험 치렀더니···수학 40점 받은 전교 1등
- [단독]강선우, 성대 교수 때도 ‘무단 결강’ 의혹…대선 캠프 합류 시기와 겹쳐
- 전한길 ‘국힘 최고위원설’까지 거론되자…“당원 자격 심사해야”
- [갤럽]민주당 지지층 ‘당 대표 선호도’ 정청래 47% 박찬대 34%
- [속보]영산강 수위 상승, 하천 범람 발생···영암군, 주민 대피·도로 통제 재난문자
- [속보]광명 아파트 화재, 방화·전기차 원인 아냐···경찰 “주차장 천장 발화”
- “얼른 먹고 가라” 혼밥 손님 면박 준 식당···업주 “목소리 커서 말투에 오해”
- [속보]‘래퍼 마약 수사 무마’ 양현석, 징역형 집유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