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도시 대전' 당위성 충분… 정부대전청사를 벤처클러스터로

진나연 기자 2023. 6. 13. 20: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리적 이점·인적 인프라 등 기반 토대로 벤처기업 집적화… 도시 경쟁력 강화
경자구역, 정부대전청사 벤처클러스터 활용 등 통해 '행정+경제' 공생 방안도
정부대전청사 전경. 대전일보DB


대전을 '벤처기업 집적도시'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더해지고 있다.

대덕특구의 벤처 R&D 인프라는 물론 수도권 인재들의 지방 이동 시 심리적 마지노선인 대전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인적 교류 등 필요충분조건을 만족시킨다는 이유에서다.

세종은 행정, 대전은 벤처 집적지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대전청사 세종 이전도 새로운 전략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대전청사를 세종시로 이전할 경우 세종은 행정수도로의 기능이 강화되고 대전은 청 단위 세종 이전에 따른 대안으로 정부의 '대전 벤처 집적화'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국토의 중심에 위치, 사통팔달 교통망으로 1시간대 서울 진입은 물론 전국적으로도 접근성이 높다.

실제 이 같은 강점은 지역 경쟁력 지표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지난달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지역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전의 지역경쟁력지수(RCI)는 50.0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 경기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인프라·보건·교육 등의 기본역량이 64.3점, 기술수용 적극성·기업활동 성숙도·연구개발 등의 혁신역량이 59.0점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수도권에서의 교통 편의성이 떨어지는 강원도·충청도·경상도 등 지역 대다수는 하위권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였다.

RCI는 지역의 경제 규모·인적 자본·제도·인프라·기술 등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점수로, 기업과 주민 관점에서의 지역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다.

이는 수도권의 인재와 기업들이 비수도권으로 이동할 때 대전이 심리적 마지노선이자 기업 이전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이에 더해 대전과 세종을 '행정+경제도시'로 통합·연계함으로써 국가균형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 일환으로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의 조속한 추진이 꼽힌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국내외 투자자본과 기업 유치 기반이 되는 규제 완화·조세 감면·국비 지원 등 각종 행정·경제적 혜택이 부여된다. 시는 현재 관련 서류보완 작업 중으로 이르면 이달 중 산업통상자원부에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또 대전과 세종을 각각 벤처·행정 클러스터를 조성해 양 지역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제시된다.

대전에는 IT·각종 첨단기술 관련 기업과 인재가 모여들 수 있도록 규제 완화·조세 감면 등 전폭적인 지원 정책을, 세종에는 정부부처를 한 데 묶어 행정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전의 벤처 집적화를 위해 정부대전청사의 세종 이전도 방법론으로 거론된다.

정부대전청사는 52만㎡ 부지에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한 최첨단 건물로 벤처기업 클러스터로 즉시 조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둔산에 위치, 벤처기업 근로자들의 직주 근접이 탁월하고, 교육 및 의료, 교통, 쇼핑, 문화예술 등의 인프라가 국내 정상급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여기에 청 단위 기관의 세종 이전에 따른 보상책으로 정부 지원이 더해질 경우 벤처 육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대전과 세종의 상생 협력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육동일 충남대 명예교수(국가균형발전사업 평가자문단장)는 "일류경제도시 대전과 행정수도 세종이라는 지향점을 볼 때 서로 상생하는 부분이 있다"며 "양 도시가 서로 경쟁하기 보다는 수도권 인구를 유입시키고 상승 발전할 수 있도록 기브 앤 테이크를 통해 함께 나아가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사업 추진과정에서 대전과 세종이 공동의 사안으로 인식하고 각 도시브랜드를 강화한다면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충청권 메가시티 차원에서도 확실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