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해고하면서 버텼는데…한국기업은 시늉만 냈다

문일호 기자(ttr15@mk.co.kr) 2023. 6. 13. 19: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韓기업 비용 25% 급증
日 10% 줄여···순이익률도 추월당해
韓 삼성·현대차·LG 등 5대 기업 분석
日 경쟁사 보다 고비용 저효율 고착
노조 등쌀에 구조조정 더뎌···직원 11%↑
사진은 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뒤 일본의 대표기업들은 인력 감축을 포함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구조조정 ‘시늉’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국내 기업들의 판매관리비가 25% 급증한 반면 일본은 되레 10%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판관비는 기업의 매출원가를 제외한 인건비, 미케팅 지출 등 각종 부대비용을 가리킨다. 위기 때는 기업 구조조정의 강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13일 매일경제는 블룸버그와 금융감독원 자료를 바탕으로 전자, 자동차, 바이오, 이차전지 등 4대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비교했다. 한국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차·기아,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등 5곳을 대상으로 했다. 일본 기업으로는 유사 업종의 경쟁사인 소니, 토요타, 다케다약품공업, 파나소닉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국내 기업은 일반 판매관리비로 지난 1분기(2023년 1~3월)에 16조8660억원을 지출했다. 비교 대상인 일본 기업들은 같은 기간 15조5570억원으로 국내 기업보다 1조3090억원을 덜 썼다.

비용 부담이 늘어나면서 기업 수익성 지표인 순이익률에서 한국 기업들은 일본에 뒤졌다. 일본 기업들의 순이익률은 지난 1분기 평균 5.2%로, 한국(4.9%)을 앞섰다. 3년 전만 해도 순이익률에서 한국 기업(5.1%)이 일본(4.9%)보다 나았다.

한일 기업간 순이익률 ‘역전’이 발생한 것은 사업구조 개편, 비용 절감 노력, 노동조합의 성향, 금리 차이 등 기업을 둘러싼 각종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직후인 2020년 1분기만 해도 일본 기업 4곳의 판관비 지출이 더 많았다. 일본기업들의 판관비는 국내 기업(13조4470억원) 보다 3조9170억원 더 많은 17조3640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팬데믹 사태 이후 양국의 구조조정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3년새 한일 대표 기업들의 판관비 증가율은 각각 25.4%, -10.4%로 대조를 이뤘다.

일본 기업은 소니의 소프트웨어 중심 사업구조 개편, 토요타의 지속적인 원가절감, 파나소닉의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 등으로 몸집을 가볍게 했다.

국내 기업은 기존 사업 구조를 그대로 놔둔채 신사업을 도입하느라 몸집을 키웠고 이 과정에서 판매관리비는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