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의 인물과 식물] 인조(仁祖)와 창포

기자 2023. 6. 13.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면 단오다. 단오는 길일로 여겼던 음력 5월5일로, 1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다. 단오를 속칭 ‘술의일(戌衣日)’, 즉 우리말로 ‘수릿날’이라 하는데, 진경환 교수의 <서울의 풍속과 세시를 담다>에는 ‘신을 모시는 날’로 해석되어 있다. 여성들이 개울가에서 머리를 감고, 그 옆에서 그네를 타는 풍광을 그린 신윤복의 ‘단오풍정’이 당시 풍습을 잘 보여준다.

‘단오에 창포물’은 다 알지만, 창포를 꽃창포와 혼동하는 사람도 많다. 둘 다 연못가나 개울가 등 습지에 자라는 생태는 같지만, 단오와 관련된 창포는 보라색 꽃이 피는 꽃창포가 아니다. 창포꽃은 부들처럼 작은 소시지 형태이고, 누런빛이 돈다. 창포의 잎과 뿌리는 독특한 향을 지녀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창포 뿌리를 깎아 만든 비녀인 ‘창포잠(菖蒲簪)’은 역병을 물리치려는 액땜으로 부녀자들이 즐겨 꽂았다.

단오에는 창포로 술을 빚어 신주(神酒)로 마셨다. 창포를 짓찧은 것에 고두밥과 누룩을 섞어 발효시킨 창포주는 역대 임금이나 신하들도 즐겨 마셨던 세시주였다. 태종은 신하에게 창포주 제조를 직접 명하기도 했다.

병자호란(1636년 12월~1637년 1월)이 발생하기 바로 전인 1636년 가을, 인조는 창덕궁 후원의 가장 안쪽인 옥류천 권역을 조성하고 큰 바위 소요암에 어필로 ‘玉流川(옥류천)’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그 앞에는 포석정처럼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할 수 있도록 얕은 물길을 내고 작은 폭포를 만들었다.

그곳에서 신하들과 술잔을 주고받으며 풍류를 즐겼던 인조. 그해 겨울, 청 황제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굴욕적인 항복을 해야만 했던 인조는 그 후 신하가 청하는 창포주를 거절하였다. “단오날에 내자시에서 관례대로 창포주를 올리고 육조에서 물선(物膳)을 올리니, 상이 한재가 한창 혹심하다는 이유로 받지 않았다. 예조가 굳이 청하였으나 상이 끝내 윤허하지 않았다(인조 17년(1639년) 5월4일)”라고 실록은 전한다. 병자호란을 겪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걸까.

조선시대 주요 명절이었던 단오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축소되었다. 강릉과 영광에서는 잊혀 가는 단오제를 오랫동안 지켜왔는데, 강릉단오제는 2005년 11월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돼 그 명맥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오는 18일부터 25일까지 거행되는 강릉단오제에 인조가 극구 손사래 쳤던 창포주를 마셔볼 수 있을까?

이선 한국전통문화대 교수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