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만든 마스크라더니…“80%가 외주업체 납품”

이유민 2023. 6. 12. 23: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기간, 중증 장애인이 만든 마스크라며 마스크를 판매해 온 업체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물량의 상당 부분을 비장애인 기업에 외주를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해당 업체 측을 사기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이유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9월, 케이블 방송에 소개된 장애인 마스크 생산 시설입니다.

중증 장애인 19명이 마스크를 만드는 곳으로 곳곳에 소개됐고, 같은 해 상반기 대비 하반기 매출이 26배 급증했습니다.

특히 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의무가 있는 공공기관에서 집중적으로 구매해 2년간 7억 5천만 원어치를 샀습니다.

[서울 지역 구청 관계자 : "공공기관은 중증 장애인 생산품을 총 구매액의 1% 이상 우선적으로 구매하게 돼 있어요."]

하지만 이 가운데 상당수는 사실, 비장애인이 만든 것이었습니다.

외주업체에서 납품받은 마스크가 80%가 넘는다는 게 해당 시설 직원의 증언입니다.

['장애인 마스크' 생산 시설 전 직원/음성 변조 : "제가 생산했던 거랑 주문량이랑 계산을 해보면 거의 80% 이상은 이제 외주 제작을 줬다고 봐야 될 것 같아요. 5억 정도..."]

서류는 완제품이 아니라 재료만 납품받은 것처럼 꾸몄는데, 이를 위해 서류상 회사까지 동원됐습니다.

[서류상 회사 입주 건물 관계자/음성변조 : "옆집에서 얘기하길 여기 전에 있었던 사장님이 다른 데로 가셨다, 이런 얘기만 들었거든요."]

외주 제작한 마스크는 이곳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완성된 뒤에는 보호작업시설 로고가 적힌 포장지에 포장돼 유통됐습니다.

외주업체 측은 KBS와의 통화에서 허위로 표시해 납품한 게 맞다고 시인했습니다.

[외주업체 사장/음성변조 : "만들어줬으면 좋겠다고 의뢰가 들어왔는데... 사실 인증받은 마스크 말고는 생산을 하면 안 돼요. 근데 그때 당시 오더도 없고..."]

이렇게 무늬만 '장애인 생산 마스크'를 판매한 곳은 서울 도봉구의 장애인 보호작업 시설.

원장은 이미 퇴사한 상태였습니다.

[현 장애인 보호작업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전 원장이 퇴사한 걸로 알고 있는데, 그 후로 생산을 안 하는 걸로..."]

해당 시설은 지난해에만 서울시 등에서 보조금 5억여 원을 받았습니다.

경찰은 장애인 시설 전 원장 등을 사기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영상편집:전유진 최정연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유민 기자 (toyou@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