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선호 직장 '이전 공공기관' 채용…"부울경 벽 허물어야"

2023. 6. 12. 17: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 울산, 경남 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역 청년들에게 이전 공공기관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역 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부산, 울산, 경남 간의 진정한 광역 단위 채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각 지자체 간 이해관계가 청년들의 채용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과 울산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광역화'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소재지의 학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해야 하는데, 채용 대상 지역을 양 시도로 넓힌 겁니다.

지난해 첫 광역 채용 결과, 두 지역 공공기관 모두 지역 인재 채용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재 풀이 넓어지자, 의무 채용 비율 30%를 훨씬 초과해 지역 학생들을 뽑은 겁니다.

특히 경남 학생들의 울산 취업이 두드러져, 채용 기회 확대 효과를 톡톡히 누렸습니다.

부산은 이런 상황을 그저 바라만 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초 광역화 논의 범위가 부울경이었지만 울산과 경남의 반대로 부산은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학과 학생이 더 많다 보니, 수적 우위에 밀려 일자리를 잠식당할까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광역 채용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부산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옵니다.

[우기열/부경대 신소재시스템공학과 4학년 : 굉장히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서 광역화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젊은 친구들에게 맞는, 필요한 일자리가 생긴다면 상경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울경 광역은 돼야, 특정 대학 출신 편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인재 채용 비율도 더 늘릴 수 있는 인재 풀이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노지영/부산시 혁신도시지원팀장 : 전공에 따라서 응시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한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울산과 경남의 졸업생과 저희 (부산의) 졸업생이 보다 폭넓은 채용의 기회를 다양한 분야에서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정부에 건의해 부산 포함 광역 채용을 공론화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용 KNN, 영상편집 : 전금채 KNN)

KNN 주우진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