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최소 4명” “쌍방 다툼”…이동관 아들 학폭 ‘진실공방’
하나고 이사장 외압 논란 관련 “통화 자체가 권력” 주장
피해자 1명은 “사과받고 이미 화해” 언론에 입장문 보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방송통신위원장 유력 후보인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의 하나고 재학 시절 학교폭력 논란에 대해 피해자가 최소 4명이고, 학폭도 2년에 걸쳐 이뤄졌다고 11일 주장했다. 피해자로 지목된 1명은 입장문을 내고 자신을 “피해자로 분류하지 말아달라”면서 일방의 괴롭힘이 아니라 쌍방 다툼이었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을 열고 이 특보가 지난 8일 공개한 ‘학폭 사건 논란에 대한 입장’에 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강 의원은 “입장문은 학생 B라고 지칭한 1명만을 (피해자라는) 전제로 진술했다”며 “이 특보 아들에게 피해를 당한 학생은 확인된 수만 최소 4명으로, 피해 학생이 더 있을 수 있다는 말도 전해진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학폭은 이 특보의 아들이 2011년 3월부터 전학 가기 전인 2012년 5월까지 이뤄졌다”며 “그런데 이 특보는 마치 짧은 기간 (벌어진) 단순 학폭인 것처럼 둔갑시켰다”고 했다.
앞서 이 특보는 지난 8일 “2011년 1학년 재학 당시 자녀 A와 학생 B 상호 간 물리적 다툼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일방적 가해 상황은 아니었고 당시 당사자 간에 이미 사과와 화해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이 특보는 “B가 A에 대한 처벌과 전학을 하지 말라고 담임교사와 교장에게 호소했으며 둘은 졸업 후에도 서로 연락하고 지내는 사이”라고 했다. 강 의원은 “상호 간 물리적 다툼이라면 피해 학생 4명도 모두 가해 학생이 된다. 해명이 필요하다”며 “사과와 화해는 이 특보가 말하는 게 아니라 B와 피해 학생 4명이 근거를 갖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 특보가 언론에 공개된 피해 학생 진술서를 “학생지도부의 정식 진술서가 아니어서 효력이 없으며, 학생 서명이 빠져 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진술서 진위에 대해 가해 학생 부모인 이 특보가 결론을 내리느냐”며 “이런 것을 확인하기 위해 학폭위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특보 아들 학폭 관련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는 열리지 않았다.
강 의원은 이 특보가 “학교 선도위원회 결정으로 자녀에게 학기 중 전학 조치가 내려졌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선도위는 초·중등교육법에 근거하며 시행령 31조에서 말하는 징계에는 전학 조치라는 것이 없다. 명백한 허위”라고 주장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 “하나고는 이 특보 자녀에 대한 선도위조차 열린 바 없다고 답변했다”며 “학폭위는커녕 선도위조차 열리지 않은 채 이 특보 아들의 학폭은 전학으로 유야무야됐다는 말이냐”고 밝혔다.
강 의원은 이 특보가 김승유 당시 하나고 이사장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알고자 문의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한 것을 두고 “학폭 사건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 학교 이사장에게 직접 전화해 문의할 수 있는 (가해 학생) 학부모가 대한민국에 몇 명이나 되나”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 특보가 “2012년 공직을 떠난 민간인 신분이라 (아들 전학 당시) 영향력을 행사할 위치가 아니었다”고 한 데 대해 “이 특보의 전화를 받고 김 이사장이 나서서 상황을 알아본다고 했다. 통화 자체가 권력이고 외압”이라고 했다.
이 특보 아들 폭행 피해자로 지목된 한 인물은 이날 연합뉴스에 입장문을 보내 “가해 학생이라 불리는 친구(이 특보 아들 A)에게 사과받고 1학년 1학기에 이미 화해한 상황”이라며 “나를 포함해 일부 학생이 보낸 진술서를 본 일부 선생님이 A의 처벌을 강하게 요청했다고 들었다. 선생님들에게 ‘우리는 (A의) 전학을 원치 않는다. 막아달라’고 읍소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술서에 대해 “특정 교사가 겪었거나 알고 있는 피해 사례를 모두 적어달라고 해 편한 마음으로 진술한 것”이라며 “진술 내용은 1학년 초반에 있었던 일이고, 시점은 2학년 4~5월경이라 기억에 혼선이 있거나 다른 친구들의 피해 사례와 섞인 경우가 있다”고 했다. 그는 “일방의 괴롭힘이 아닌 쌍방의 다툼 사례들이 있었음에도, 내가 그 피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한 ‘가해’는 진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도 A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4월에도 만나는 등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나를 학폭 피해자로 간주하며 조명하는 것이 너무나도 큰 스트레스다. 나를 피해자로 분류하지 말아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윤승민 기자 me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동관, 극우 유튜브 채널서 “제대로 된 보수, 지상파 안 봐”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