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름 돋았다”…얇은 옷 하나 걸친 미치광이의 정체

이용익 기자(yongik@mk.co.kr) 2023. 6. 11. 18: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어왕’으로 변신한 이순재
60년 연기인생 담아 열연
200분간 ‘허무함’ 쏟아내
절대 권력과 딸들의 사랑을 모두 잃은 뒤 미치광이가 된 리어왕을 연기하는 이순재. [연우무대·에이티알]
빛나는 왕관을 내려놓은 왕은 그저 초라한 늙은이에 지나지 않는다. 사랑하는 딸의 시신을 끌어안은 아비는 늙은 것도 모자라 이제 미치광이에 불과할 뿐이다. 고대 브리튼인의 지배자였던 리어왕의 전설을 바탕으로 대문호 셰익스피어가 창조한 ‘리어왕’은 4대 비극 중에서도 그 규모나 비극성이 가장 처절한 작품으로 꼽히곤 한다.

2년 전 공연과 마찬가지로 단독 캐스팅으로 리어왕 역할을 맡은 배우 이순재(88)는 60년을 훌쩍 넘긴 연기 인생을 담아 그야말로 열연을 펼친다. 극 초반 세상 전부를 발 밑에 두고 있는 절대권력의 소유자로 등장한 리어왕이 시간이 지나자 얇은 옷 하나만 걸친 채 맨발로 무대 위를 걷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관객 또한 인생의 허무함을 곱씹는 시간을 갖게 된다. 옷 색깔 못지 않게 하얗게 바랜 느낌의 머리칼과 수염, 깊게 패인 주름, 특유의 탁성까지가 모두 리어왕의 현신처럼 보이는데 기여한다. 제작사는 공연이 끝난 뒤 이순재를 ‘역대 최고령 리어왕’으로 기네스북에 등재 신청을 할 예정이다.

셰익스피어 사후 7년 차(1623) 버전을 번역해 만든 이번 공연은 원작을 각색하거나 압축하지 않아 고어(古語) 문체가 살아있으면서도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셰익스피어학회장으로서 번역을 담당한 이현우 순천향대 영미학과 교수는 “원작의 운문은 운문 그대로, 산문은 산문으로 구분해 번역했다”며 “판소리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3, 4 음보 등을 활용해 말맛을 살렸다”고 밝혔다.

백발을 풀어헤친 채 광야를 떠도는 연기를 펼치고 있는 이순재 [연우무대·에이티알]
주역은 물론 예술감독 역할까지 소화한 이순재 본인 역시 “리어왕은 이 세상 모든 것이 들어 있는 수작”이라며 원작을 살린 이유를 설명했고,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함께 시도해 볼 수 있는 최고의 행운이기에 자다가도 대사가 튀어나올 수 있을 정도로 철저히 준비했다”고 자신한 바 있다. 대사 한 번을 틀리지 않는 열연 덕분에 200분, 3시간이 지나고도 20분이 더 필요한 긴 공연 시간은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게 흘러간다.

이순재 외에 조역들 또한 자신의 맡은 바를 충실하게 수행해낸다. 맏딸 고너릴 역의 권민중과 둘째 딸 리건을 맡은 서송희는 리어왕의 유산을 차지하기 위해 애교를 부리는 모습으로 등장할 때부터 남자에 눈이 멀어 서로를 적대시하다 죽어갈 때까지 존재감을 잃지 않는다. 원작의 주요 부분 외에 작은 부분까지 살리려고 노력했기에 충신 켄트 백작 역의 박용수, 서자 에드먼드에게 배반당하고 두눈이 뽑히는 글로스터 백작 역의 최종률 등도 감칠맛나는 대사로 관객의 집중력을 유지시킨다.

공연이 열리는 LG아트센터의 무대 또한 황량하고 축축한 고대 영국 황야의 모습을 구현해내는데 성공한 모습이다. 다만 음향의 경우 각자 톤이 다른 배우들의 육성을 전달하는데 아쉬움이 남는다는 평도 존재한다. 공연은 오는 18일까지 단 16회 동안만 진행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