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안방 노리는 오픈AI·구글…네이버·카카오 3Q 승부수 던진다

윤지혜 기자 2023. 6. 11. 16: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픈AI와 구글이 한국으로 생성형 AI 생태계 확대에 나서자 네이버(NAVER) 카카오에 긴장감이 흐른다.

한국은 자체 생성형 AI 기술을 보유한 몇 안 되는 나라다.

이에 네이버 카카오는 오는 3분기 생성형 AI 승부수를 던진다.

양사는 한국에 특화한 생성형 AI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일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열린 K-Startups meet OpenAI 행사에서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 그렉 브로크만 오픈AI 회장에게 질문 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오픈AI와 구글이 한국으로 생성형 AI 생태계 확대에 나서자 네이버(NAVER) 카카오에 긴장감이 흐른다. 한국은 자체 생성형 AI 기술을 보유한 몇 안 되는 나라다. 그러나 이대로라면 국내 AI 산업 주도권을 글로벌 빅테크에 뺏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이에 네이버 카카오는 오는 3분기 생성형 AI 승부수를 던진다.

지난 9일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K-스타트업 밋업'에서 "한국에 (오픈AI 사무소를) 개소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엔 많은 글로벌 기업이 있다. 이는 큰 자산"이라며 "협력 방안에 대해 더 많은 얘길 하고싶다"라고 덧붙였다. 국내 스타트업으로 챗GPT 생태계 확장에 본격 나선 셈이다.

구글도 내달 13~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한민국 인공지능 위크: AI 포 코리아 2023'을 연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행사로, 지난달 '구글 I/O 2023'에서 공개한 최신 AI 기술을 국내 산학연에 공유하고 기술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구글은 AI 챗봇 '바드'를 영어에 이어 두번째로 한국어 버전을 선보이는 등 국내 진출 보폭을 넓히고 있다.
3분기 '하이퍼클로바X'·'KoGPT 2.0' 온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총괄 이사. /사진=네이버
국내 대표 IT기업 네이버 카카오도 3분기 반격에 나선다. 네이버는 오는 8월 LLM(거대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선보인다. 검색·쇼핑 등 네이버 자체 서비스에 하이퍼클로바X를 연동하는 동시에 B2B 사업모델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연내엔 이를 이미지·동영상까지 생성하는 멀티모달 AI로 진화시킨다. AI 챗봇 형태의 '서치GPT'도 출시를 앞뒀다.

카카오브레인도 3분기 공개를 목표로 LLM 'KoGPT 2.0'을 개발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연내 한국어 특화 AI 챗봇 'Ko챗GPT'를 출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이미지 생성모델 '칼로'(Karlo)로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스타트업이 칼로를 활용해 100배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과 인프라, 지원금을 제공하는 '칼로 100X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이를 위한 별도 펀드도 조성할 예정이다.

양사는 한국에 특화한 생성형 AI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총괄 이사는 최근 'GAA 2023(Generative AI Asia 2023)'에서 "글로벌 기업의 AI 범용모델은 학습 데이터나 비용 면에서 한국어를 후순위에 둘 수밖에 없다"라며 "한국어 데이터가 적게 들어간 만큼 한국 시장에서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생성형 AI 시장이 개화하는 이 시기를 놓치면 구글·애플 천하인 모바일앱 생태계 전철을 밟을 것이란 우려도 쏟아진다. 성 이사는 "외산 AI를 쓰면 해외 기업들에 일정 수준 비용을 계속 지불하는 'AI 식민지'가 된다"라며 "AI 기술 보유 기업이 기술을 공개하지 않는 등 사다리를 걷어차면 그 때는 만들고자 해도 못 만드는 상황이 온다"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