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극단장 된 고선웅의 첫 연출작 ‘겟팅아웃’… 절실하지만 부족한 관대함에 관한 이야기

이강은 2023. 6. 11. 1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리'라는 여자가 수감생활 후 밖으로 나와 세상과 관계를 맺고 인생의 보람도 찾아야 할 텐데, 막막해 보이기만 하는 가석방 당일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잊고 싶어하는 과거가 여자 발목을 잡고 있는 것도 안타깝고. 그 사람을 좋은 마음으로 포옹하고 싶어 이 작품을 하게 됐어요."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연극 '겟팅아웃' 연습 장면을 공개한 고선웅 연출은 이 작품을 올린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리’라는 여자가 수감생활 후 밖으로 나와 세상과 관계를 맺고 인생의 보람도 찾아야 할 텐데, 막막해 보이기만 하는 가석방 당일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잊고 싶어하는 과거가 여자 발목을 잡고 있는 것도 안타깝고. 그 사람을 좋은 마음으로 포옹하고 싶어 이 작품을 하게 됐어요.”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연극 ‘겟팅아웃’ 연습 장면을 공개한 고선웅 연출은 이 작품을 올린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겟팅아웃’은 고 연출이 지난해 9월 서울시극단 단장으로 부임한 후 고른 첫 연출작이다. 이 작품은 연극 ‘잘자요, 엄마(Night, Mother)’로 퓰리처상을 받은 미국 극작가 마샤 노먼이 1977년 발표한 첫 희곡이다. 

연극 ‘겟팅아웃’에서 각각 ‘알린’과 ‘알리’ 역을 맡은 이경미(왼쪽)와 유유진이 공연 연습에 열중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8년의 복역을 마치고 출소한 ‘알린’은 낡고 허름한 아파트에 짐을 풀면서 새 삶을 꿈꾼다. 어렸을 적부터 집 안과 밖에서든, 교도소에서든 끔찍한 폭력을 겪으며 비행 청소년으로 살았던 불행한 과거를 잊고자 이름을 ‘알리’에서 ‘알린’으로 바꾼 지도 오래다. 그녀는 수감시절 배운 기술로 일자리를 구하고 남의 손에 맡겨진 아들을 데려와 키우고 싶어 하는 등 평범한 삶을 바란다. 하지만 출소 첫날부터 가혹한 현실을 마주한다. 가장 힘이 돼줘야 할 엄마마저 딸을 불신하고 새 삶에 대한 의지를 꺾는 등 주변인들은 알린이 잊고 싶어하는 어두운 과거를 계속 들추어내면서 괴롭힌다. 포주였던 남자친구도 탈옥수로 다시 나타나 알린에게 예전처럼 매춘을 권한다. 

극은 출소 후 알린과 그 전까지 알리의 모습이 교차하며 전개된다. 무대 1층은 알린의 새 보금자리인 아파트, 2층은 알리가 수감됐던 교도소 방으로 꾸며졌다.

고 연출은 1970년대 희곡이지만 지금 관객들이 공감할 만한 주제 의식과 연극적 재미에 충실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실수든 고의든 잘못을 한 사람이 합당한 벌을 받고 반성하면 재기할 기회를 주는 관대함이 필요한데 여전히 그렇지 못한 세상을 그려냈단 얘기다.

알린 역은 연극 ‘오만과 편견’, ‘해롤드와 모드’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펼친 이경미, 알리 역은 연극 ‘아마데우스’에서 독특한 매력을 선보인 유유진이 맡았다. 이경미는 “알린이 중심축을 잘 지탱해야 하는 만큼 고민이 많았다”며 “(괴로운) 현실을 견뎌 나간 끝에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표현하려 했다”고 말했다. 알리의 상처와 분노를 거칠게 표현하는 유유진은 “관객들이 ‘재 왜 저래?’가 아니라 ‘내 안의 분노를 대신 분출해주고 있구나’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웃었다. 엄마 역 박윤정을 비롯해 서우진, 정원조, 강신구, 이승우 등이 출연한다. 오는 23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공연.

이강은 선임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