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엔 정말 '크루즈' 오갈 수 있을까 [추적+]

최아름 기자 2023. 6. 11. 09: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심층취재 [추적+]
서울항 프로젝트 과거‧현재‧미래
서울시·서울살림포럼 용역 발주
서울항 사업 효율성 검토가 목적
서울항 제 항로 찾아갈 수 있을까

2022년 겨울, 서울시는 '서울항'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다시 꺼냈다. 12년 만이다. 우려와 기대가 교차했다. 이를 의식한 서울시는 지난 2월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서울시의회 의원 연구단체도 비슷한 용역을 외부기관에 맡겼다. '서울항'은 도대체 어떤 플랜을 담고 있을까. 더스쿠프가 서울항 프로젝트의 실체와 위험요인을 쉽게 풀어봤다.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모두 서울항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사진은 한강공원에서 여가를 즐기는 시민들.[사진=뉴시스]

2022년 11월 '서울항'은 다시 한번 이목을 끌었다. 2010년 한강르네상스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던 서울항 프로젝트가 12년 만인 2022년 '그레이트한강'이란 계획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서울항은 여의도에 있는 여객선 선착장을 더 키워 국내선ㆍ국제선이 드나드는 터미널로 만들겠다는 게 골자다. 2010년 오세훈 시정市政이 기획했던 '서울항'은 오 시장이 다시 서울시정의 수장에 오른 2022년 공론의 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사업 추진을 위한 준비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지난 2월 '서울항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용역 기간은 18개월이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용역은 2024년 하반기에나 마무리될 예정이다.

타당성 조사에서 살펴볼 분야는 광범위하다. 인천항에 드나드는 규모와 시설 구성, 서울항 명소화 방안, 대형 크루즈 입항 현황 등을 분석한다. 서울항과 연계한 여의도공원 정비방안, 국내외 관광객 동향도 연구용역의 범주에 들어 있다.

서울항의 미래를 궁금해하는 건 사업주체인 서울시뿐만은 아니다. 서울시의 예산을 담당하는 서울시의회도 서울항 프로젝트를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서울시의회 내 의원들의 예산 연구단체인 '서울살림포럼'은 5월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진단과 개선방안(서울항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입찰은 지난 7일 마감됐다.

서울살림포럼이 연구용역을 맡기면서 작성한 과업 지시서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다. "2010년 한강 르네상스의 일환으로 추진됐던 서울항 사업은 추진 단계에서 경제적ㆍ환경적ㆍ공익적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바 있다. 당시 관련 사업 대다수가 축소ㆍ폐기됐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재추진을 위해서 그간의 기술적ㆍ사회적ㆍ환경적 변화를 반영해 사업 타당성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서울항을 바라보는 시민의 인지나 합의 수준부터 환경ㆍ경제ㆍ문화관광적 요소까지 검토해 여의도에 항구를 만드는 일이 얼마나 효용성이 있는지 살펴보겠다는 얘기다. 이처럼 서울항 프로젝트에 쏠린 관심의 크기는 상당하다.

■ 서울항의 밑그림 = 그렇다면 서울항 프로젝트의 밑그림은 어떨까. 이 프로젝트의 수요자인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정리해봤다. 밑그림의 방향은 크루즈(대형유람선)를 이용하는 서울항 사업과 이를 연계한 여의도공원 정비방안 두개다. 서울항을 국제 크루즈선이 오가는 곳으로 만들기 위해선 CIQ(CustomsㆍImmigrationㆍQuarantine)를 함께 구축해야 한다. 이를테면 세관검사ㆍ출입국관리ㆍ검역 같은 시스템들이다.

한강에 어느 정도 규모의 선박이 들어오느냐도 관건이다. 서울시는 2022년 11월 서울항 프로젝트를 다시 발표할 당시 한강에 들어올 수 있는 선박의 크기로 선폭 20m 이내, 높이 10m 이내, 흘수(물에 잠기는 부분) 4.5m, 길이 130m 이내 기준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한강 선박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2022년 11월 발표한 것보다 선박 규모가 커질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지만 결정된 건 없다.

사업 방식도 살펴봐야 한다. 서울시는 2022년 서울항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민간투자를 허용해 수상호텔, 국제회의장, 노을전망대 등이 들어선 복합문화명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근엔 공공의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비교해 최적의 사업방식을 제시하겠다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서울항의 운영 역시 공공이 할지 민간에 위탁할지 결정하지 않았다.

다만,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했던 2010년 서울항 프로젝트가 숱한 비판거리를 남겼다는 건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2010년 당시 서울시는 크루즈 사업만으론 흑자를 내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서울시는 민간업체에 서울항 사업을 맡기는 대신 부대시설 운영권을 부여해 적자를 메꿀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서울항 사업에 뛰어든 민간업체는 크루즈 사업에 발생하는 적자(25억원)를 호텔사업과 터미널 운영에서 나오는 수익(50억원)으로 감당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런 사업 구조가 12년 만에 부활한 서울항에도 적용할 것인지는 연구용역이 끝난 후에야 알 수 있다.

서울항의 사업방식, 한강 선박 기준 등은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 사진은 여의도 유람선 선착장.

■ 서울항에 숨은 변수 = 이처럼 연구용역 결과를 기다려야겠지만, 그 결과가 서울항 프로젝트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건 아니다. 서울항의 추진을 막을 만한 변수는 그밖에도 많다. 2022년 환경단체가 "CIQ와 호텔 운영 과정에서 수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던 건 대표적 사례다.

이런 우려를 털어내고 가려면 수상호텔 등이 미칠 환경 영향 평가 결과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번에 발주된 연구용역에서 친환경적 운영을 검토하는 건 주운수로(배가 다니는 물길)가 전부다.

살펴야 할 변수는 또 있다. 시간이다. 서울시는 2026년부터 국제여객터미널로서의 서울항을 운영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려면 한강 맞춤형 선박도 만들어야 하고 국제 여객과 연계한 부대시설의 조성 작업도 이때까지 끝내야 한다. 2024년 하반기에야 연구용역이 마무리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간이 빠듯하다.

서울시는 서울항의 타당성을 분석한 연구용역의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긍정적인 부분과 위험요인을 시민이 확인할 수 있다는 거다. 모든 정보를 빠짐없이 확인한 시민은 서울항에 어떤 반응을 드러낼까.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