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악몽' 재현되나... 배수구 틀어막은 담배꽁초 [이한호의 시사잡경]

이한호 입력 2023. 6. 10. 1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8월 9일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

그 외에도 일가족이 참변을 당한 관악구의 반지하 집, 동시다발적 산사태가 우거진 수목을 할퀴고 간 동네 뒷산, 힘없이 무너져 내린 아파트 단지의 축대 등 곳곳에 지난해 여름의 상처가 뚜렷이 남아 있다.

전국 단위로 보면 2023년 한 해 수해방지를 위해 편성된 환경부 예산만 1조6,000억 원대에 달한다.

편집자주무심코 지나치다 눈에 띈 어떤 장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연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극심한 수해를 입은 서울 서초구 강남역 인근 빗물받이가 6일 담배 꽁초와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극심한 수해를 입은 서울 강남구 강남역 인근 빗물받이가 6일 담배 꽁초와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폭우 당시 침수된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에 이달 1일까지도 흙탕물 얼룩과 마른 흙이 곳곳에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폭우 당시 침수된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에 이달 1일까지도 흙탕물 얼룩과 마른 흙이 곳곳에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8월 9일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 세입자 A씨는 허리 위까지 차오른 흙탕물을 집 밖으로 빼내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현관문 앞에서는 이동식 배수펌프가 쉴 새 없이 돌아가고, 그 주변으로 각종 가재도구가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서울 강남 일대가 물난리를 겪은 지 약 10개월 만인 지난 1일, 해당 반지하 주택엔 더 이상 사람이 살지 않았다. 텅 빈 집 안으로 들어서자 벽지와 문, 붙박이장 등 곳곳에 침수 당시 흙탕물이 만든 '수평선'이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지난해 여름 이후 시간이 멈춘 듯, 황톳빛 얼룩과 마른 흙뭉치마저 여기저기 엉겨 붙은 채로 급박했던 그날을 증언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일가족이 참변을 당한 관악구의 반지하 집, 동시다발적 산사태가 우거진 수목을 할퀴고 간 동네 뒷산, 힘없이 무너져 내린 아파트 단지의 축대 등 곳곳에 지난해 여름의 상처가 뚜렷이 남아 있다.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진 지난해 8월 8일 밤 서울 강남역 일대 도로가 완전히 물에 잠기면서 버스 등 차량들이 오도 가도 못한 채 도로에 갇혀 있다. SNS 캡처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8월 9일 간밤 폭우로 일가족 3명이 사망한 서울 관악구 신림동의 다세대 주택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재훈 기자
지난해 수도권 폭우 당시 일가족이 고립돼 사망한 서울 관악구의 반지하 주택에 이달 1일까지도 침수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역대급' 침수 피해를 입었던 강남역 일대에선 당시의 흔적을 볼 수 없었다. 다만, 침수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담배꽁초만은 여전히, 꾸준하게 버려지고 있었다. 지난 6일 강남역과 신논현역 인근 번화가를 직접 걸으며 바닥 배수구를 살펴봤다. 버려진 담배꽁초나 담뱃갑 등이 쌓여 하수도로 내려가는 빗물 구멍을 막은 경우가 적지 않았고, 담배꽁초와 악취를 막자고 배수구를 아예 덮개로 덮어둔 경우도 있었다. 큰비가 오면 덮개가 배수를 막기 때문에 이 또한 침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15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강남역 일대 빗물받이의 2/3가 막히면 침수 면적이 3.3배로 늘어난다.

상습 침수를 방지할 핵심 대책인 '대심도 배수터널' 가동은 일러야 2028년께 가능하다. 그전까지는 우수 처리 용량의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2028년 이후라도 빗물을 본 터널로 모으는 것은 결국 55만여 개의 배수구이다 보니, 담배꽁초는 호우 상황에서 여전히 위협적이다.

꽁초 및 쓰레기 투기와 악취 방지를 위해 덮개를 설치한 빗물받이에도 굳이 덮개를 열고 꽁초를 버리는 경우가 잦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극심한 수해를 입은 서울 서초구 강남역 인근 빗물받이가 6일 담배 꽁초와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 이한호 기자
쓰레기 투기와 악취 방지를 위해 빗물받이를 통으로 막아놓은 곳들도 여전했다. 6일 서울 강남구 강남역 번화가의 한 빗물받이 쉽게 치우기 어려운 돌판으로 막혀 있다. 이한호 기자

앞으로 대심도 배수터널 설치사업을 비롯해 하수관 정비, 산사태를 예방하는 사방시설 설치, 조기 예·경보 체계 구축 등 수해 대응 사업에 서울시에서만 연간 수천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전국 단위로 보면 2023년 한 해 수해방지를 위해 편성된 환경부 예산만 1조6,000억 원대에 달한다. 하지만, 그에 앞서 길거리 배수구에 담배꽁초나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다면 돈 한 푼 들이지 않고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과거의 피해로부터 얻은 교훈을 망각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인 수해 대책일 수 있다.

지난해 침수된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 방충망에 말라붙은 흙으로 당시 수위를 짐작할 수 있다. 이한호 기자
지난해 침수된 서울 동작구의 한 반지하 주택 창가에 흙탕물이 쏟아져 들어온 흔적이 남아 있다. 이한호 기자
폭우가 쏟아진 지난해 8월 8일 밤 서울 서초동 아파트 단지 앞에서 한 남성이 침수된 차량 위로 올라가 몸을 피하고 있다. SNS 캡처
편집자주
무심코 지나치다 눈에 띈 어떤 장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연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시선을 사로잡는 이 광경, '이한호의 시사잡경'이 생각할 거리를 담은 사진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이한호 기자 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이 뉴스에 대해 의견을 나눠보세요.
톡방 종료까지 00:00:00 남았습니다.

타임톡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