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하나뿐인 넷플릭스 '예능 편집실' 가보니 [OTT온에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넷플릭스가 K-예능 발전이라는 취지로 마포구 망원동에서 운영하는 '예능 편집실'을 8일 취재진에 공개했다.
하정수 넷플릭스 포스트프로덕션 총괄은 "포스트 프로덕션(후반작업)은 촬영본에 그래픽 등 후반 작업을 해서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이라며 예능 편집실이 예능 촬영본의 후반작업을 위한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국내 창작 생태계와 동반 성장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한 결과가 예능 편집실로 이어진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반작업 '포스트 프로덕션' 중요성 강조…"최종 조리과정과 같은 것"
'관찰 예능' 많은 K-예능 특성 고려…"편집자 많아도 OK"
[아이뉴스24 박소희 기자] "콘텐츠 제작 과정은 '요리'와 같다. 후반작업인 '포스트 프로덕션'은 요리가 제때, 제 시간에 서빙될 수 있도록 조리하는 과정이다. 좋은 재료가 있어도 조리를 하지 못하면 도루묵이 되듯, 고생해서 찍은 촬영본을 다양한 과정을 통해 시청자에게 좋은 품질의 작품으로 선보이는 작업이다."(하정수 넷플릭스 포스트프로덕션 총괄)
넷플릭스가 K-예능 발전이라는 취지로 마포구 망원동에서 운영하는 '예능 편집실'을 8일 취재진에 공개했다. 총 5층 건물 내 2~4층에 개인 편집실 22개와 2개의 회의실이 있다.
지난해 6월 문을 열었으니 어느덧 1년이 지났다. 넷플릭스가 운영하는 편집실은 미국 뉴욕과 LA 두 곳이다. 미국 외 국가로는 한국이 처음인 데다 '예능' 장르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하정수 넷플릭스 포스트프로덕션 총괄은 "포스트 프로덕션(후반작업)은 촬영본에 그래픽 등 후반 작업을 해서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이라며 예능 편집실이 예능 촬영본의 후반작업을 위한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국내 창작 생태계와 동반 성장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한 결과가 예능 편집실로 이어진 것이다. 이를 계기로 국내 창작 생태계에도 '포스트 프로덕션'이라는 개념이 더욱 확고해졌다.
포스트 프로덕션에는 촬영하면서 이뤄지는 데이터 백업 아카이빙, 4K와 HDR 등으로 이뤄지는 이미지 편집과 애트모스 믹싱 등 사운드 편집, 기술 결함이 없는지 확인하는 IMF 마스터링 QC, 더빙·자막·마케팅·심의 등이 모두 포함된다.
예능 편집실을 거친 대표적인 넷플릭스 예능 콘텐츠는 '코리아 넘버원'과 '성+인물' 일본편이다. 현재 '성+인물' 대만편을 제작 중인 김인식 PD는 "예능은 다른 장르와 달리 집단 창작 시스템이 강해 많은 PD와 작가들이 참여한다"며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일하려면 소통이 중요한데, 이곳은 같은 제작팀이 한 층을 전부 다 쓸 수 있어서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고 만족스러워했다.
예능 편집실이 한국에서 첫 선을 보이게 된 데에는 카메라 사용이 많은 'K-예능' 고유의 특성 작용했다. 하 총괄은 "한국 예능은 관찰 예능이 많다 보니 '1초'의 순간도 포착하는 것이 중요해 평균 30~40대를 쓴다"고 말했다.
그만큼 편집할 내용이 많은 것이다. 하 총괄은 "영화나 드라마는 편집 기사나 보조를 모두 포함해도 평균 4명 정도의 인원이 소규모로 편집하지만, 예능은 카메라가 많아 편집 인력이 상당히 많이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개인 편집실을 22개나 둔 것도 동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김 PD는 '성인물'을 통해 넷플릭스가 처음 미드폼 장르를 시도한 데 대해서는 "시청자 반응을 빨리 볼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 수 없을까 고민한 결과가 미드폼"이라며 "'성+인물' 일본편은 4개월 정도 걸려 공개됐다. 방송과 넷플릭스의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수용한 장르"라고 자평했다.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견서 제출하라"는 법원 명령 무시한 넷플릭스 "사용료 못내" [IT돋보기]
- 美서 계정공유 금지한 넷플릭스…한국은 언제? [OTT온에어]
- 넷플릭스·웨이브·티빙 등 7개사 OTT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지정
- "국내 포털서 91%가 중국 응원"...다음, 응원 서비스 중단
- [항저우AG] 신유빈-전지희 '금빛 스매시'…북한 꺾고 21년 만의 금메달
- 추석 앞두고 홀로 숨진 40대 남성..."고독사 추정"
- [2023 노벨상] mRNA 백신 개발한 카리코-와이스먼 공동수상
- '설탕 범벅' 탕후루 너무 먹었나...20대 당뇨 환자 급증
- [2023 노벨상] mRNA 백신으로 코로나19 방어…노벨생리의학상 받다
- 日도쿄전력, 오염수 피해 접수..."수산물 가격 하락시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