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엔 운동] 자세가 중요한 달리기, 뒤꿈치 닿기는 피해야

신수정 2023. 6. 10. 0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신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 중 하나인 달리기는 체지방 감소뿐 아니라 심폐기능 향상, 심장질환 예방 등 건강을 지키는데 좋은 운동이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자세의 달리기는 운동 효과 감소와 함께 근육과 관절에도 무리를 주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세에서는 횡격막 확장과 수축이 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뒤꿈치로 먼저 착지하면 뒤쪽에 있는 아킬레스건, 무릎, 고관절, 허리 심하면 머리까지 충격이 올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신수정 기자] 전신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 중 하나인 달리기는 체지방 감소뿐 아니라 심폐기능 향상, 심장질환 예방 등 건강을 지키는데 좋은 운동이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자세의 달리기는 운동 효과 감소와 함께 근육과 관절에도 무리를 주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달리기 준비. [사진=pixabay]

그렇다면 올바른 달리기 자세란 어떤 것일까.

먼저 올바른 시선 처리가 중요하다. 달리기할 때 시선은 전방 30m 정도를 바라보며 달리는 것이 좋다. 이보다 더 멀리 보거나 가까이 바라보고 달리면 목에 위치가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되면서 목 근육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달리기. [사진=pixabay]

또 몸통의 형태에도 신경 써야 한다. 턱을 당기고 목을 길게 늘여 어깨를 내리는 데 중점을 두며 정면을 바라보며 엉덩이는 뒤로 빼지 않고 배를 내밀지도 않아야 한다. 배꼽을 당기는 듯하게 배에 힘을 줘 몸통 자체를 튼튼하고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자세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세에서는 횡격막 확장과 수축이 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팔은 90도로 자연스럽게 굽히며 골반을 스치듯 자연스럽게 앞뒤로 움직이면 된다. 앞보다 뒤로 팔을 보내는 동작에 더욱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는 상체와 하체의 협응력을 끌어내는 데 도움을 줘 달리기 동력을 효과적으로 낼 수 있다.

달리기. [사진=pixabay]

마지막으로 발의 앞꿈치가 먼저 땅에 닿는 것을 신경 쓰도록 한다. 대부분의 초보는 힘이 부족하여 골반의 굴곡으로 발뒤꿈치부터 착지하는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 자세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뒤꿈치로 먼저 착지하면 뒤쪽에 있는 아킬레스건, 무릎, 고관절, 허리 심하면 머리까지 충격이 올 수 있다. 이에 비해 앞꿈치로 착지를 유도할 경우에는 인대, 근육, 힘줄, 뼈들이 잡아주기 때문에 안전하며 스프링 효과를 줄 수 있다.

/신수정 기자(soojungsin@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